[뉴스포커스]

 '인공지능'등 新 산업 분야 연구자 채용 설명회 한인 박사들 한명도 안와
  미국 등 해외에선 안오고, 한국내선 찾기 힘들고…한국 대학들'진퇴양란'
 '연봉 장벽'등 걸림돌 미국 유학생들 기피, '인재 양성 총력' 중국과 대비


 
 # 사례1: 한국의 명문대인 고려대학교는 지난달 초 샌프란시스코, LA 등 미국 서부 지역의 주요 대학 박사과정 졸업 예정자를 대상으로 채용 설명회를 열었다. 인공지능(AI) 등 4차 산업혁명의 주요 분야 연구자를 뽑기 위해서였다. 결과는 초라했다. 고려대 관계자는 "요즘 뜨는 분야 박사들은 한 명도 안 왔다"고 했다.

# 사례2: 비즈니스 전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인 링크드인에 따르면 중국 내 AI 분야 전체 인력의 40%가 미국인이다. 미국 등 해외 유학파인 자국 인재를 끌어들이기 위해 중국 정부가 만든 '천인 계획'이 효과를 거두면서 글로벌 AI 전문가 보유 순위에서 중국은 단숨에 7위로 올라섰다. 중국은 이제 AI 인재의 블랙홀로 불린다.

 한국의 명문대들이 신(新)산업과 연관된 연구 분야의 전문가를 영입하는 데 애를 먹고 있다고 한국경제신문이 10일 보도했다. 해외에선 오지 않으려 하고 한국 내에선 인물을 찾기 어려워 진퇴양난인 상황이다. 4차 산업혁명의 경쟁력이 인재 확보인데 한국은 이점에서 중국에도 밀리는 신세가 되고 말았다. 

 이런 상황에서 젊은 박사들을 데려오기는 더욱 힘들다. 서울대는 실리콘밸리에서 활약 중인 동문들의 네트워크를 만들어 AI, 빅데이터 등의 인재 영입에 공을 들이고 있지만 '연봉 장벽'에 막혀 좌초하기 일쑤다. 

 교수 대부분이 비정규직이고 초봉은 3000만원이 채 안 되며 정규직 교수도 연봉이 5000만원으로 상한선이 정해져 있는 일도 꽤 많은 것이 한국의 현실이다.

 지난해 신규 박사 학위 취득자 중 비정규직의 연봉은 2565만원이었다. 미국에선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박사 학위 소지자 중 최하(박사후과정 연구원)의 평균 연봉이 5만4403달러다. 

 그렇다고 소위 '국내파'에서 인재를 찾아내기는 언감생심이다. 재정난에 허덕이는 대부분의 한국대학들이 교수 정원을 늘릴 수 없는 상황이라 박사학위를 받더라도 일자리를 구하기는 '하늘의 별따기'이기 때문이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내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이들의 평균 연령은 40.9세다. 고용률은 60%지만 취업한 이들 중 43.7%가 임시직을 전전한다. 취업한다 해도 이들은 고용 불안에 시달려야 한다. 

 이에 비해 중국은 인재 양성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올 7월 중국 국무원이 발표한 계획안에 따르면 중국은 글로벌 최고 수준의 인재와 청년 유망주에 집중해 국가 단위의 인재풀을 구성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국무원은 특화된 정책, 대학에 인공지능 석·박사 과정을 개설하며 고등학교 과정에도 기초 인공지능 교육 도입을 제안했다. 

 미국에선 대학들이 정부 지원금을 받아 미래 엔지니어 양성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가 인근 중·고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5주간 연수를 하는 게 대표적 사례다. 교사들은 4차 산업혁명의 주요 분야에 관한 교육을 받으며 학생들에게 가르칠 강의 계획을 짠다. 고교생들이 직접 대학 연구센터의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도 흔한 일이다. 

 미국과 중국이 각축을 벌이고 있는 디지털혁신 전쟁에서 한국이 살아남으려면 인재를 길러내야 한다고 신문은 지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