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왕 신처럼 여기던 기성 세대, 젊은 세대의 '군주제 폐지' 요구 극렬 시위에 '깜짝'


태국

국민 추앙 푸미폰 국왕 서거후 아들 세습 후 본격화
복잡한 사생활·왕실 재산·군대 사유화 부정적 작용

"아버지는 국왕 비판 자체가 범죄라고 가르치셨죠. 일종의 금기죠. 아버지와 이 이야기를 하면 말다툼을 하고 하루를 망치죠" 대학에서 법학을 전공하는 다나이(19·가명)는 쁘라윳 짠-오차 총리 퇴진과 군주제 개혁을 요구하는 시위대에 섞여 올여름을 방콕 시내를 누볐다. 그는 중상류층에 속하는 아버지와 비교적 관계가 좋은 편이지만, 국왕 얘기만 나오면 싸우게 된다고 하소연했다.

군주제를 두고 다나이 부자간에 벌어진 이런 세대 갈등은 이제 태국 전역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이라고 BBC 방송이 18일 보도했다.

태국에서 국왕은 한때 인간과 함께 사는 신(神) 또는 국민의 '아버지'로 추앙받는 존재였다. 국왕을 비롯한 왕족을 가까이서 알현할 때 대부분의 태국인은 무릎을 꿇고 땅바닥을 기듯 다가간다. 총리를 비롯한 고관들도 예외가 아니다.

왕가 사람들이 죽었을 때 화장터도 신이 사후에 돌아간다는 '수미산'(우주의 중심에 있다는 상상의 산) 모양으로 꾸며진다.

이런 태국 국왕의 권위는 13세기 수코타이 왕조로부터 시작된 오랜 왕정 역사의 산물이기도 하지만, 2016년 서거한 푸미폰 아둔야뎃(라마 9세) 전 국왕의 영향이 크다는 게 일반적인 관측이다.

1946년 19살의 나이에 즉위한 푸미폰 전 국왕은 2016년까지 무려 70년을 재위했다. 더욱이 그는 생전에 전국 방방곡곡을 순회하며 어려운 국민들의 손을 잡고, 다양한 개발사업을 추진해 태국을 중진국 반열에 올려놓으며 국민의 추앙을 받았다.

현재 태국 국민 대다수는 그런 푸미폰 국왕 재위 기간에 태어나 성장하고 나이를 먹었다. 동시에 이들은 자연스레 국왕을 존경하라고 교육받았다. 지금도 모든 공적인 행사는 물론 영화를 상영하는 극장에서도 국왕 찬가가 연주된다. 또 태국 전역의 도로와 상가 등 공공장소에는 어김없이 국왕의 초상화가 내걸려 있다.

이런 왕가 존중 문화는 왕실 모독을 강력하게 처벌하는 형법 규정까지 만들어 냈다. 태국 형법 112조는 왕과 왕비, 왕세자와 섭정자 등 왕실 구성원은 물론 왕가의 업적을 모독하는 경우 최고 15년의 징역형에 처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1932년 절대왕정이 종식되고 입헌군주제로 전환됐지만, 국민의 존경과 사랑으로 포장된 '사실상의 절대왕정'이 유지된 셈이다.

그러나 푸미폰 전 국왕 서거 직후인 2016년 12월 왕위가 그의 아들인 마하 와치랄롱꼰(라마 10세) 국왕에게 넘어가면서 군주제를 지탱했던 국민의 존경과 사랑이 예전 같지 않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여기에는 수차례 반복된 결혼과 이혼 등 와치랄롱꼰 국왕의 복잡한 사생활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그는 4번째 부인인 현 수티다 왕비와 결혼한 지 두 달만인 지난해 7월 또 다른 여성을 '배우자'로 맞이하기도 했다. 또 와치랄롱꼰 국왕은 400억 달러(한화 약 45조8천억원)에 달하는 왕실 재산과 군대를 사유화했다는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더욱이 이전 세대가 경험했던 '국왕의 사랑'을 경험해보지 못한 젊은 세대들에게 이런 국왕의 행보는 그저 비판과 타파의 대상일 뿐이다.

총리 퇴진을 요구하며 최근 거리로 쏟아져 나온 젊은 시위대는 '무소불위'로 부를만한 국왕의 막강한 권한 행사와 왕실 재산 개인화에 불만을 제기해 기성세대를 놀라게 하고 있다. BBC는 학생들의 반정부 시위가 시작되고 나서 태국 전역의 가정에서 신구 세대 갈등이 불거졌으며, 부모와 자녀, 형제와 자매가 이방인이 되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