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 다수 희생에 '군사보복 카드'…철군 뒤에도 자국민 구조 천명

백악관 "아프간인 전원 대피 불가"…또 다른 논란 불씨 될 수도

(워싱턴=연합뉴스) 이상헌 특파원 = 아프가니스탄 폭탄 테러로 정치적 위기에 직면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테러 세력을 겨냥한 '보복' 카드를 꺼내 들었다.

미군 13명을 비롯해 확인된 사망자만 최소 90여 명에 달하는 등 막대한 인명 피해를 보자 군사적 타격을 천명하며 정면 돌파를 선언한 것이다.

다만 31일로 예정된 철군 시한을 고수하면서 그때까지 카불 공항 대피 작전을 지금처럼 이어가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은 26일 카불 공항 인근에서 두 차례 폭탄 테러 발생 후 가진 대국민 연설에서 이번 테러 주체로 지목된 이슬람국가(IS) 지도부와 핵심 자산을 공격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라고 군 당국에 지시했다.

그러면서 미국이 선택한 시간과 장소에 강력하고 정확한 대응을 하겠다며 이른바 '선택적 정밀 타격' 방침을 밝혔다. 미군이 조만간 아프간에서 완전히 철군하는 만큼 정보 당국이 취합할 IS 근거지를 겨냥한 공습이 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

그는 "용서하지 않겠다"거나 "잊지 않겠다", "추적해 대가를 치르게 하겠다"라고 하는 등 단호한 어조를 사용해 응징에 대한 의지를 거듭 강조했다.

이 같은 강력 대응 천명 배경에는 '질서 있는' 철군 작전이 이번 테러로 크게 훼손된 데다 자국민 희생 규모가 컸다는 이유 등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런 표면적인 명분 이면에는 그간 철군을 둘러싼 논란도 자리 잡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전임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탈레반과 합의한 5월 1일 철군 시한을 두고 고민하다 8월 31일 철군을 결정하며 사실상 이를 승계했다.

아프간전의 발단이었던 9·11 테러 20년을 맞아 애초 전쟁 목표를 달성했고 더는 미군을 희생시킬 수 없다는 게 명분이었다.

하지만 완전 철군 발표 4개월 만인 지난 15일 카불이 이슬람 무장세력 탈레반에 함락당하자 미국 시민들과 함께 동맹 및 아프간 조력자에 대한 대피 작전도 시간에 쫓기며 꼬였다.

논란이 일며 비난의 화살이 자신에게 쏟아지자, 트럼프의 합의로 선택지가 거의 없는 상황이었다는 논리를 펴기도 했다.

여기에 바이든 대통령은 영국 등 아프간 파병 동맹의 시한 연장 요구를 거절했다. 더 머물다간 테러 공격을 당할 수 있다는 현실적인 우려 탓이었다.

하지만 카불 대사관을 버리다시피 하며 헬기로 철수하는 장면은 베트남전 패전 직전의 치욕적인 탈출 작전을 연상시키면서 또 다른 굴욕을 떠안아야 했다.

이런 상황에서 초대형 테러로 미군 다수가 희생되자 바이든으로서도 군사적 대응이라는 초강경책을 내놓을 수밖에 없었을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대피 작전 지속에는 위험 역시 동반된다는 우려도 나온다.

AP통신은 테러가 나자 바이든이 더 많은 사상자를 낼 위험 속에 작전을 지속하거나, 미국인들을 남겨두고 작전을 조기 종료하는 선택지를 안게 됐다고 분석했다.

바이든으로선 자국민을 버렸다는 후폭풍을 피하기 위해서라도 추가 희생 가능성을 감수하고도 전자를 택한 셈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철군 시한을 고수하면서도 아프간 내 자국민을 끝까지 구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관계 당국이 요청하면 추가 파병도 승인하겠다고까지 했다.

철군 뒤에도 대피시켜야 할 미국 시민이 남아 있다면 군을 활용할 수 있다는 뜻이다. 물론 그는 아직 이런 요청은 없다고 했다.

반면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탈출을 원하는 아프간인들을 전원 대피시키는 것은 불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자국민 대피를 우선할 수밖에 없는 긴박한 상황이지만, 약속했던 아프간 조력자들을 모두 책임지지 못할 경우 또 다른 논란에 휩싸일 가능성이 없지 않다.

honeybe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