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도 2시 청년" vs "10시 청년"…청년층 여론도 쪼개져

(서울=연합뉴스) 이슬기 기자 = 국민의힘이 이준석 전 대표가 던진 '비대위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 결과를 기다리는 가운데 당내 갈등을 둘러싼 긴장감도 최고조로 치닫고 있다.

당 일각에선 '가처분 폭탄'을 던진 이 전 대표를 향해 "너 죽고 나 죽자 식이다", "부글부글 끓고 있다"는 등 날 선 반응들이 쏟아지고 있다. 청년층 사이에서도 이 전 대표 지지와 옹호로 엇갈리며 균열 조짐이다.

이 전 대표와 친윤(친윤석열) 그룹 간 갈등이 법정 시비까지 확전되면서 비상대책위원회 출범 이후에도 당 내홍은 좀처럼 사그라지지 않는 모양새다.

친윤계로 분류되는 박성중 의원은 19일 YTN 라디오 인터뷰에서 이 전 대표의 가처분 신청 이후 당내 의원들의 분위기를 "굉장히 부글부글 끓고 있다"고 표현했다.

박 의원은 "당 대표를 했던 사람이 해도 해도 너무 한다. 자기 탓은 하지 않고 전부 남 탓이고, 윤핵관(윤석열 핵심 관계자) 탓이고, 대통령 탓이라고 한다"며 이 전 대표를 직격했다.

박 의원은 "대통령이 아무리 (마음이) 넓더라도 (이 전 대표가) '개고기', '이XX' 이런 식으로 계속 나간다면 대통령도 사람인데 (포용)하기 쉽지 (않지) 않겠느냐"라며 "청년 당원들조차도 (이 전 대표에게) 등을 돌리고 있는 입장"이라고 했다.

이어 노자의 도덕경 한 구절을 인용하며 "말을 너무 많이 해도 좋지 않다. 말을 신중하고 가려서 해야 한다고 (이 전 대표에게) 전하고 싶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조해진 의원은 이날 CBS 라디오 인터뷰에서 "이 전 대표가 계속 비아냥대고 조롱하고 폭로하고 확인도 되지 않은 건데 들었다고 하면서 대통령이 '이XX, 저XX' 했다고 이야기해버리는 상황"이라며 "야당도 그 정도까지는 이야기 안 하고 있다. 대통령이 잘되게 하기 위해 직언하고 쓴소리하는 차원을 넘어버렸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대통령과 일대일 대립 구도를 만들어 자기의 정치적 위상을 키우겠다는 것으로 밖에는 안 보인다"며 "일종의 너 죽고 나 죽자는 식 비슷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당내 청년들의 여론도 쪼개졌다.

전날 이 전 대표와 공개 설전을 벌였던 장예찬 청년재단 이사는 이날도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맹공을 퍼부었다. 장 이사는 지난 대선에서 윤석열 캠프 청년본부장을 지냈다.

장 이사는 "이 전 대표 편에서는 청년들은 사회생활 경험 없이 정치권을 어슬렁거리는 청년들을 비하하는 말인 '여의도 2시 청년' 그 자체"라며 "정치 말고는 다른 일로 돈을 벌어 세금 한 푼 내본 적 없는 일군의 청년 정치인들"이라고 직격했다.

그러면서 "이름도 처음 들어보는 '나는 국대다'(나국대)의 이대남 대변인들, 2년 만에 20억대 재산 신고를 해 돈 걱정 없이 정치만 하면 되는 김용태 전 최고위원은 정치나 방송 말고 대체 무슨 사회생활을 했는가"라고 쏘아붙였다.

'나는 국대다' 출신 대변인들과 김 전 최고위원은 모두 이 대표 측근으로 꼽힌다.

그러자 '나는 국대다' 출신인 임승호 전 대변인은 페이스북에서 "'여의도 10시 청년'은 국회의원 이름을 빌려 오전 10시에 소통관을 어슬렁거리는 분을 의미하는 말"이라며 맞받아쳤다.

장 이사가 최근 국회 소통관에서 이 전 대표를 비판하는 기자회견을 했던 것을 비꼰 것이다.

임 전 대변인은 장 이사를 향해 "타인의 재산신고 내역까지 언급하고 본인이 더 유명하다는 식의 대단한 신분의식까지 보이고 있다"며 "'청년팔이'를 제일 열심히 하고 계신 분은 장 이사 본인"이라고 했다.

이 대표와 가까운 하태경 의원도 MBC 라디오 인터뷰에서 "윤리위 징계부터 말이 안 되는 것"이라며 "이 전 대표는 지금 생존투쟁을 하고 있다"고 옹호했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한테 드리고 싶은 말씀은 정치라는 게 꼴 보기 싫은 사람하고도 타협하는 것이라는 점"이라며 "지금 당장은 어렵더라도 결국 화해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 (이 전 대표와) 타협점을 모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하 의원은 타협점의 하나로 비대위 활동과는 별개로 이 전 대표의 징계가 끝나는 내년 1월 초 이 전 대표가 당대표직에 복귀할 수 있도록 비대위가 당헌을 유권해석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wis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