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력은 또다른 폭력을 낳는다. 폭력을 당한 피해자라 해도 복수를 폭력으로 한다면 그 역시 새로운 폭력을 파생한다. 작품의 영향을 분명히 인지한 배우 김남길은 2차 가해 위험성을 충분히 고려했다.

김남길은 지난 29일 스포츠서울과 만나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트리거’에 대해 “보면서도 불편한 지점이 있었지만, 그럼에도 필요했다”고 밝혔다.

‘트리거’는 대한민국에서 출처를 알 수 없는 불법 총기가 배달된 뒤 총기 사건이 끊임없이 발생하는 가운데 각자의 이유로 총을 든 두 남자의 이야기를 그린 총기 재난 액션 스릴러다.

특히 ‘총기 청정국’ 대한민국을 배경으로 펼쳐지는 총기 재난물이라는 점에서 신선하다는 호평을 받았다. 김남길 역시 “기획 자체가 신선했다. 우리나라는 휴전 국가고, 국민의 절반이 군대를 다녀와서 총을 다룰 줄 아는 사람들이고, 어린 친구들도 게임을 통해서 총을 접하지 않냐”며 “총기가 합법화된 나라에서 벌어진 사건, 사고들을 봤을 때 과연 이런 이야기가 우리나라에 땅을 붙인다면 어떻게 될까 싶었다”고 말했다.

‘트리거’는 에피소드마다 학교 폭력, 직장내 괴롭힘 등 각자의 이유로 총을 들게 된 인물이 등장한다. 이들의 사연은 각자 적나라하게 그려져 일각에선 총기 미화 및 ‘폭력에 맞서는 폭력’이라는 우려의 시선이 제기됐다.

김남길 역시 주연 배우로서 같은 지점을 우려했다. 김남길은 “미국의 경우 교내 총격 사고가 자주 일어나서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해 있다. 저 역시 ‘트리거’ 속 2차 가해에 대한 우려가 있었다. 가급적 폭력적인 장면을 노출하고 싶지 않았다”며 “하지만 필요악이 있지 않냐. 학교에서 두 친구의 감정을 표현하는 데 있어선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고 조심스럽게 답했다.

김남길이 연기한 이도는 용병 출신 경찰로, 총기로 인해 다수의 목숨을 앗아간 트라우마를 가진 인물이다. 이로 인해 국내에서 벌어진 총기 사건에 대해 더욱 예민하게 반응한다. 총기 유통의 배후 문백(김영광 분)과 정반대의 지점에 있는 인물이다.

김남길은 “어느 정도 문백의 행동도 이해가 된다. 일부 변질됐으나 미국 총기가 합법화된 것은 넓은 땅에서 재산과 가족을 보호하기 위함이었다”며 “반면 이도는 총기에 대해 부정적인 요소로만 이야기한다. 각 에피소드도 감정이입이 될 수밖에 없게 조금 악의적으로 만든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누구보다 총을 배척하던 이도는 결국 또다시 총을 손에 쥐게 된다. 능숙한 솜씨로 총을 다루는 액션신은 이도가 가진 신념과 달리 아이러니하게도 감탄을 유발하게 했다. 김남길은 “인물 콘셉트상 굉장히 자제했다. 더 잔인하거나 스타일리시하게 보여줄 수 있었다. 하지만 자제했다고 흘러나오는 멋짐은 어쩔 수 없겠죠”라고 농담했다.

동시에 김남길이 전작 ‘열혈사제’ ‘악의 마음을 읽는 자들’ ‘브로큰’ 등에서 보여준 익숙한 연기톤이라는 호불호 반응이 이어졌다. 특히 과거 아픈 서사를 가진 숨겨진 영웅이라는 설정은 ‘열혈사제’ 속 김해일 신부와 유사점을 갖는다.

김남길 역시 이를 인지했다. 다만 들어오는 대본을 막을 순 없었다. 김남길은 “저한텐 완전히 코미디거나 액션물 등 극단적인 작품이 들어온다”면서도 “‘트리거’ 이도는 나름의 서사와 깊이가 있어서 이야기해보고 싶은 것들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동시에 멜로 작품을 염원했다. 김남길은 “제가 왜 지금까지 놀고 있겠냐”고 크게 웃음을 터뜨렸다. 이어 “물론 멜로 자체만으로는 투자가 안 되더라”며 “늘 로맨스, 멜로, 로맨틱 코미디에 누구보다 특화돼 있다고 생각한다”고 러브콜을 보냈다. sjay0928@sportsseou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