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지원·강득구 이어 고민정·한병도 가세…與 "당내 논의 없다"
'여론 주시' 신중론도…정청래·박찬대도 즉답 피해
8·15 광복절을 앞두고 더불어민주당에서 자녀 입시 비리 등의 혐의로 수감된 조국 전 조국혁신당에 대한 특별사면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는 모습이다.
사면권이 대통령 고유의 권한이라는 이유 등으로 공식적인 논의는 없다는 게 당의 입장이지만, 사면을 촉구하는 공개적인 목소리와 함께 당내에서 이른바 검찰권 남용에 따른 희생자에 대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언급이 나오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국민의 반대가 적지 않은 상황에서 정권 초기에 조 전 대표를 특별사면하는 것은 국정 운영에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문재인 정부 청와대 대변인을 지낸 민주당 고민정 의원은 29일 페이스북에 "마음의 빚을 지게 하는 사람"이란 글을 올리면서 조 전 대표 면회 사실을 공개했다.
고 의원은 많은 이들이 그의 사면을 바란다며 그 이유로 "검찰 개혁을 요구했던 우리가 틀리지 않았음을 조국 사면을 통해 확인받고 싶은 마음"이라고 말했다.
문재인 정부 대통령 정무수석 출신인 한병도 의원도 방송 인터뷰에서 "3대가 멸문지화 당했다. 과도한 검찰권 행사의 대표적 사례로 배려가 있어야 한다"고 했다.
같은 당 강득구 의원 역시 최근 페이스북에서 "그와 그의 가족은 이미 죗값을 혹독하게 치렀다"고 주장하며 조 전 대표의 사면을 건의했다.
박지원 의원도 최근 호남 지역 언론과 만나 "조 전 대표에 대한 사면과 복권이 이뤄져야 하고, 정권 재창출을 위해 민주당과 혁신당이 통합해야 한다"고 말했다.
우원식 국회의장이 지난 9일 조 전 대표를 면회한 사실을 공개되기도 했다.
친명(친이재명)계 좌장인 정성호 법무부 장관은 지난 16일 인사청문회에서 조 전 대표의 사면 문제에 대해 구체적 답변은 피하면서도 "조 전 대표 가족 전체가 받았던 형을 고려하면 불균형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대선 승리 직후인 지난달 12일에는 조 전 대표의 사면·복권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친명계 핵심인 한 의원은 30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조 전 대표의 사면 문제와 관련, "윤석열이 가장 먼저 죽인 것이 조국이고 가장 마지막에 죽이려고 한 것이 이재명 대통령"이라며 "이번에 안 하면 다음은 성탄절 때인데 이번에 해야 사법 피해자를 구제하는 측면에서 효용이 있다"고 말했다.
6·3 대선 직후 조 전 대표의 사면을 요구했던 조국혁신당은 내심 사면을 기대하면서도 대외적으로는 로키 행보를 하는 모습이다.
혁신당 차규근 의원은 이날 BBS 라디오에서 "사면은 대통령의 고유 권한이지만, 여러 종교 지도자의 사면에 대한 의견이 대통령실에도 전달된 상황이기에 조심스럽게 저희 개인적으로는 기대하는 면이 있다"고 말했다.
앞서 혁신당은 지난달 초 우상호 정무수석에게 '정치검찰 피해자에 대한 사면·복권이 필요하다'며 사실상 조 전 대표의 사면·복권을 공식 요구했다.
민주당 지도부는 조 전 대표 사면 문제에 대해 공개적으로 언급하지 않고 있다.
민주당 원내 핵심 관계자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조 전 대표 사면에 대해 하나도 논의한 바가 없다"며 "고도의 정치 행위일 수 있지만, 판단은 우리 몫이 아니다"고 말했다.
8·2 전당대회 당 대표 선거에 나선 정청래·박찬대 의원도 전날 TV토론에서 조 전 대표의 사면 문제에 대해 "대통령 고유 권한"이라면서 즉답하지 않았다.
민주당의 이런 기조에는 결정 권한 문제에 더해 조 전 대표 사면 시 일반 국민 여론도 봐야 한다는 당내 일각의 기류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당내에는 조 전 대표가 사면·복권돼 정치를 재개할 경우 호남권을 중심으로 내년 지방선거에 영향이 있을 수 있다는 우려도 없지 않다.
한 당내 인사는 "조 전 대표에 대한 개인적 안타까움과 별개로 광복절 특사 문제는 여론 등을 종합적으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곽민서 기자mskwa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