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의 관세 부과가 본격화된 올 2분기(4∼6월) 세계 주요 자동차 수출국 가운데 한국의 대미 자동차 수출이 가장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 대비 30억 달러가량 급감했다. 자동차 업계에서는 “미국 현지 재고가 바닥나는 3분기(7∼9월)에 더 큰 문제가 생길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2025-09-15
-
미국 엔터테인먼트 업계의 '젊은 피' 데이비드 엘리슨(42)이 세계 최대 엔터테인먼트 기업 넷플릭스에 대적할 새 합병 기업을 탄생시킬지에 관심이 쏠린다. 엘리슨이 설립한 스카이댄스가 할리우드 메이저 영화제작사 파라마운트 인수를 성사시킨 데 이어 또 다른 전설적 스튜디오 워너브러더스를 다음 인수 표적으로 삼으면서다.
2025-09-15
-
美월풀, 한국산 세탁기 등에 "가치 낮춰적어 관세 회피" 주장
미국의 생활가전 업체 월풀이 미국에 수입되는 한국산 세탁기 등 외국산 제품들이 '언더밸류'(실제 가격보다 낮은 표시 금액을 서류에 기입하는 행위) 수법으로 관세를 회피하고 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고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2025-09-15
-
트럼프 관세 부메랑…美기업들, 비용·불확실성 증가에 채용중단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정책 충격으로 미국 기업들이 고용에 제동을 걸면서 노동시장 성장이 멈췄다고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가 1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FT에 따르면 최근 몇 달간 제조업, 도소매업, 에너지 등 분야에서 일자리가 감소했으며,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수입관세 대폭 인상 조치로 비용이 상승하고 불확실성 탓에 사업 확장에 나서기 어렵게 된 탓이 크다는 게 기업 관계자들의 얘기다.
2025-09-15
-
"3500억불 트럼프에 주느니 수출기업 지원하는게 낫다"
한국 정부가 관세를 낮추기 위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에 3천500억달러(약 488조원)를 내는 대신 그 돈으로 한국의 수출기업을 지원하는 게 낫다고 미국 경제학자가 주장했다. 미국 싱크탱크 경제정책연구센터(CEPR)의 선임경제학자 딘 베이커(사진)는 한국과 일본이 미국과 큰 틀에서 타결한 무역 합의가 좋은 합의 같지 않다고 평가한 글을 지난 11일 연구센터 홈페이지에 올렸다.
2025-09-15
-
미 연준 내주 올해 첫 금리인하 전망…연내 추가 인하 예상도
지표상 넉달째 고용 둔화…0. 25%포인트 인하 가능성 94%. 오는 16~17일(현지시간) 예정된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앞두고 금융 시장은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재개를 기정사실화하는 분위기다.
2025-09-12
-
미국에서 커피 소매가격이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브라질 등 주요 커피 산지의 작황이 부진한 데다 관세 폭탄까지 겹치면서다. 미국 노동부 노동통계국이 11일(현지시간) 발표한 8월 소비자물가지수(CPI)에 따르면 커피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21% 올랐다.
2025-09-12
-
뉴욕 연은'구직 기대감'44. 9% 사상 최저. 직장을 찾고 있는 구직자들의 구직 기대가 예전만 못하다. 일자리 증가가 둔화하면서 새로운 직장을 찾을 것이라는 기대는 크게 꺾였다. . 전 직장에서 해고를 당한 뒤 7개월 째 접어든 한인 구직자 A씨는 새로운 직장을 구하는 일이 이렇게 힘들 줄은 몰랐다고 했다.
2025-09-12
-
미국의 8월 소비자 물가가 시장의 예상치와 거의 비슷하게 나와 기준금리 인하가 예상된다. . 11일 미 노동통계국에 따르면, 8월 소비자 물가는 전월 대비 0. 4% 올라 0. 3% 상승을 전망한 시장 예측치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시장 예측과 동일한 2.
2025-09-12
-
올 2분기 총 8620만 가구, 전년 대비 0. 1% 감소…가격 폭등·모기지 금리 인상 주원인. 임대 가구 4640만 가구, 2. 6% 증가 대조. LA지역 주택 소유율 46. 4%, 절반도 안돼. 미국의 주택 보유율이 2016년 이후 9년만에 처음으로 하락했다. .
2025-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