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주택 시장에서 구매 계약이 체결된 후 거래가 파기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레드핀(Redfin)의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6월 한 달간 전체 주택 거래의 약 15%가 계약 후 취소됐다. 이는 2017년 이후 6월 기준으로 가장 높은 수치다.
2025-08-01
-
6월 개인소비지출 물가 전년대비 2. 6% 증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부과 여파로 미국 중앙은행이 중시하는 인플레이션 지표가 6월 들어 반등했다. 미국 상무부는 6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가 전년 동월 대비 2. 6% 상승했다고 31일 밝혔다.
2025-08-01
-
미국과의 이번 관세 협상에서 타결의 지렛대 역할을 한 것은 미국과의 조선업 협력 프로젝트인 ‘마스가(MASGA·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등 통상협상단은 “조선업 협력이 합의에 가장 크게 기여했다”고 밝혔다.
2025-08-01
-
“한국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미국이 투자할 수 있도록 3500억 달러를 제공하고 그 수익의 90%는 미국 국민에게 돌아갈 것이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 “미국 측 원문을 보면 투자 수익을 90% ‘리테인(retain·유보)’ 한다고 돼 있다.
2025-08-01
-
31일 타결된 한국과 미국의 관세 협상 결과를 놓고 2012년부터 발효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가 사실상 유명무실해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전쟁’이 무역의 틀을 바꿔버렸다는 것이다. 이날 김용범 대통령정책실장은 협상 결과를 브리핑하며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이 상당히 많이 흔들리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2025-08-01
-
미국 내 최대 아시안 이커머스 플랫폼 중 하나인 야미(yami. com)는 한국의 대표 헬스&뷰티 스토어 올리브영과 공식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지난달 31일 밝혔다. . 야미는 이번 파트너십 체결로 컬러그램, 웨이크메이크, 바이오힐보, 브링그린 등 올리브영의 대표 자체 브랜드(PB)를 선별해 미국 내 소비자들에게 선보일 수 있는 채널을 확보하게 됐다.
2025-08-01
-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5회 연속 기준금리를 동결한 가운데 후폭풍이 거세다. 1993년 이후 처음으로 연준 이사 2명이 동시에 반대표를 던진 것이다. 이 두사람은 모두 트럼프 1기에 임명돼 금리 인하를 주장해 왔는데, 특히 이 중 1명은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후임으로 거론되는 인물이라 주목을 받고 있다.
2025-08-01
-
미국 자동차업체 포드가 올해 2분기 정부의 관세정책으로 인해 8억 달러(약 1조1천억원)의 타격을 받으면서 적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30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 등에 따르면 포드는 올해 4~6월 매출이 작년 동기 대비 5% 증가한 502억 달러를 기록했지만 관세로 8억 달러를 납부해 영업이익은 3천600만 달러 적자를 봤다고 밝혔다.
2025-07-31
-
올해 1분기 들어 역성장했던 미국 경제가 2분기 들어 성장세를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수입량 변화 등 관세 정책에 따른 일시적인 영향을 제외한 미국 경제 수요의 기조적 흐름은 2분기 들어 약화하는 조짐을 나타냈다. 미 상무부는 2분기 미국의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속보치)이 3.
2025-07-31
-
연준 기준금리 4. 25~4. 50%로 5회연속 동결.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거듭된 금리 인하 압박에도 30일 기준금리를 현행 4. 25∼4. 50%로 또 동결했다. 연준은 이틀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를 공개한 자료에서 "실업률은 여전히 낮고 노동시장은 견조하나 인플레이션은 여전히 다소 높다"면서 "경제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다"고 금리 동결 결정의 배경을 밝혔다.
2025-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