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성장 세종연구소 부소장 신간서저에 게재… "키 작아서 농구 시작, 하루종일 몰입"
[목요화제]
스위스서 함께 살던 金 이모부 증언
"농구 하면서 스포츠맨 정신 갖게돼
관두고 안하게 되면서 살 찌게된듯"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농구 소년’이었던 10대 시절의 사진이 최초 공개됐다.
정성장 세종연구소 부소장은 지난 30일 신간 저서인 ‘우리가 모르는 김정은: 그의 정치와 전략’의 일본어판인 ‘알려지지 않은 김정은, 4대 공주와 농구감독’을 통해 김 총비서가 13세이던 1997년 1월에 찍은 사진을 공개했다.
사진은 김 총비서가 스위스 유학 중 크리스마스 방학 기간에 일시 귀국해 평양에서 친형 김정철 등과 함께 농구 경기를 한 뒤 우승 트로피를 들고 있는 모습이라고 정 부소장은 전했다.
이 사진은 정성장 세종연구소 부소장이 미국 망명 중인 김정은 위원장의 이모부, 리강 씨로부터 2021년 직접 입수한 것이다.
리강 씨는 김 총비서의 이모인 고용숙 씨와 부부로, 부부가 모두 미국으로 망명한 바 있다. 고용숙은 김 총비서의 생모인 고용희의 동생으로, 이들 부부는 김 총비서와 동생 김여정이 스위스에서 유학 생활을 할 당시 이들을 돌봤다고 한다
정 부소장이 전하는 리 씨의 말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키가 크기 위해 시작한 농구에 매료됐고, 실력이 쌓이며 전문 농구 선수들과 경기도 했다고 한다. 형 김정철은 키가 큰데 동생 김정은은 키가 작은 것에 친모(고용희)가 속상해했고, 이에 농구를 시작한 게 나중에는 2·8 체육단 여자 농구단(국가대표)에 이어 남자 농구단과도 경기하게 됐다고 리 씨는 증언했다.
김정은은 투사(슛)를 잘했고 농구공을 갖고 잘 정도로 재미를 붙였다고 한다. 농구를 하면서 키도 많이 큰 것으로 전해진다. 리씨는 “방학이면 김정은은 아침부터 저녁까지 농구만 했다. 나도 김책공대에서 농구를 했지만, 하루 종일 같이 뛰는 건 고역이었다”고 회고했다.
리 씨는 본인이 김 총비서에게 ‘체육은 공정해야 하고, 룰과 법칙에 따라야 한다’는 것을 계속 강조했다고 전했다. 리 씨에 따르면 김 위원장의 팀과 경기를 한다고 상대방이 져주는 경우는 없었으며, 실제로 김 위원장의 실력이 좋아 잘 지지 않았다고도 한다.
리씨는 김정은이 농구를 하면서 스포츠맨 정신을 갖게 된 느낌이 들었다”며 “어느 경기에서는 비겼는데 김정은이 ‘우리가 진 걸로 하자’고 말하기도 했다. 물러날 줄도 알고 인정할 줄도 알고 그런 점에서 농구가 김정은에게 도움을 준 것 같다”고 증언했다.
김 총비서는 미국프로농구(NBA)의 광팬으로 유명하다. 집권 직후인 2013년 2월엔 NBA 시카고 불스 출신의 스타 데니스 로드먼과 일부 선수들을 북한으로 초청해 직접 만나고, 북한팀과 친선경기를 치르기도 했다. 스위스에서 유학하던 1990년대 후반엔 마이클 조던을 좋아해서 농구 경기를 할 때 조던의 플레이를 따라 하기도 했다고 한다.
리 씨는 “김정은이 농구를 못 하면서 살이 찐 것 같다”라고 언급하기도 했다고 정 부소장은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