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유정 "쌀·농축산물 개방폭 안 넓혀…검수 과정 변화 몰라도 우리 의견 맞아"

대통령실은 1일 미국과의 관세협상 결과를 두고 미국 측에서 쌀 시장 개방 가능성이 거론되는 것과 관련해 "개방 폭이 더 늘어나는 것은 없다"고 밝혔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우리는 이미 농축산물 시장의 99.7%가 개방돼 있고 나머지 0.3%에 대해 더 개방하는 것은 없다는 것이 우리 측 의견으로, 이 의견이 맞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강 대변인은 "상세 품목에서 검수나 검역 과정을 더 쉽게 한다거나 하는 변화가 어쩌면 있을지도 모르지만, 전체 (개방하는) 양에 있어서는 (추가되는 것이 없다)"며 "오히려 미국 측에서 조금 오해가 있었던 것 아닐까"라고 덧붙였다.

검역을 완화하는 방식으로라도 개방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는 것이냐는 질문에는 "상세 항목은 조율과 협상 여지가 남아 있는 부분"이라면서도 "쌀이나 농축산물에 대해 개방 폭은 넓히지 않는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어 "세부 요건에 있어서 (한미가) 서로 인지하는 게 달랐다고 말씀드릴 수도 있겠다"고 부연했다.

이날 발언은 한미 관세협상 결과에 대한 양국의 발표 내용 중 '온도차'가 일부 나타난 가운데, 한국의 설명이 더 정확하다는 게 대통령실의 입장인 셈이다.

전날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도 "국내 쌀과 소고기 시장은 추가 개방하지 않는 것으로 합의했다"고 밝힌 바 있다.

앞서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7월 31일(현지시간) 백악관 브리핑에서 "한국은 상호관세와 자동차 관세를 15%로 낮추는 대신 자동차와 쌀과 같은 미국 제품에 시장을 개방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하루 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한국은 미국과의 무역에 완전히 개방할 것이고 자동차, 트럭, 농업(농산물) 등을 포함한 미국산 제품을 받아들이기로 합의했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김 실장은 전날 "정치 지도자의 표현으로 이해하고 있다"며 "중요한 것은 협상을 책임진 각료들 간 대화"라고 설명했다.

(서울=연합뉴스) 고동욱 설승은 기자 sncwoo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