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럽, 전국 건강·웰빙 지수 보고서 
2022년 39.9%, 올해 37.0% 감소
"미국, 높은 비만율 기록하고 있어"

미국의 성인 비만율이 3년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위고비와 오젬픽 등 체중 감량 치료제 사용이 급증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여론조사기관 갤럽이 28일 발표한 '미국 전국 건강 및 웰빙 지수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미국 성인 중 비만으로 분류된 비율은 37%로 집계됐다. 이는 2022년 기록한 역대 최고치(39.9%)보다 약 3%P 감소한 수치다.
이번 조사는 2025년 1~3분기 미국 성인 1만 6,946명을 대상으로 3회에 걸쳐 진행됐으며, 오차범위는 ±0.9%포인트다. 갤럽은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감소로, 3년 전과 비교해 비만 성인이 760만 명 줄어든 것으로 추산된다"고 설명했다.
미국 성인 비만율은 2022년 39.9% 2023년 38.4%, 2024년 37.5%, 올해 37.0%로 3년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비만은 체질량지수(BMI)가 30 이상인 사람으로 정의됐다.
갤럽은 이번 조사에서 체중 감량을 위한 GLP-1 약물 사용이 동시에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보고서는 "2022년 이후 대부분 연령대에서 비만율이 감소했으며, 이는 GLP-1 주사제 사용 증가와 시기적으로 맞물린다"고 분석했다.
GLP-1은 음식 섭취 후 소장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혈당을 조절하고 식욕을 억제하는 기능을 한다. 당뇨병 및 비만 치료에 활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GLP-1 기반 약물이 위고비와 오젬픽이다.
올해 조사에서 체중 감량을 위해 GLP-1 약물을 복용한다고 답한 비율은 12.4%였다. 지난해(5.8%)보다 두 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GLP-1 사용률이 가장 높은 연령대는 40~49세와 50~64세로, 이 구간에서 비만율도 가장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여성이 남성보다 GLP-1 사용률이 높고 비만율 감소 폭도 더 컸다.
올해 여성의 15.2%가 체중 감량 주사를 맞은 경험이 있다고 답했으며, 남성은 9.7%였다. 여성 비만율은 2022년 대비 3.5%P 줄어든 38.8%, 남성은 2.3%P 하락한 35.2%로 나타났다.
갤럽은 "GLP-1 약물 사용이 2021년 FDA 최초 승인 이후 꾸준히 증가해 왔으며, 이번 결과는 그 흐름을 반영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보고서는 비만율이 감소했음에도 미국이 서구권 국가 중 여전히 높은 비만율을 기록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