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연은 총재 "국채시장 문제없어"

미국 관세정책의 불확실성과 국가신용등급 강등에 따른 우려 속에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인사들이 9월 이전 기준금리 인하에 대해 신중론을 펴고 있다.

19일(현지시간) 블룸버그,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존 윌리엄스 미국 뉴욕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이날 모기지은행협회(MBA) 콘퍼런스에서 "6월이나 7월에 (미국 경제에)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이해할 거라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불확실성을 고려할 때 경제 불확실성이 걷히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하며, 데이터 수집과 경제 상황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윌리엄스 총재는 또 정부 정책 변화와 매우 높은 불확실성 속에서 미국 달러화 자산의 지위에 대한 "소문 또는 우려"의 신호가 있다면서도 "외국 자금이 미 국채 시장으로 유입되는 방식에 있어 주요한 변화는 보이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최근 미 국채 금리 상승에 대해선 대체로 일정한 범위 내에서 움직였다면서 "미 국채 시장과 같은 핵심 채권시장은 매우 잘 기능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불확실성 확대에도 불구하고 "미국 경제는 매우 양호한 상태"라고 진단하며 현재 다소 긴축적인 연준의 통화정책 입지가 향후 불확실성을 고려할 때 매우 잘 자리잡힌 상태라고 강조했다.

연준은 지난해 12월 4.25∼4.50%로 기준금리를 인하한 뒤 동결을 이어가고 있다.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연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는 올해 6·7·9·10·12월 예정되어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선물 시장에서도 6월과 7월 기준금리가 현 수준을 유지할 가능성을 각각 91.4%, 66.9%로 보고 있고, 9월 들어서야 29.7%로 낮아진다.

시장에서는 올해 기준금리 인하 폭 전망치를 기존 0.25%포인트씩 4차례에서 2차례로 줄인 상태다.

래피얼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도 이날 CNBC, 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 당분간 금리 동결에 찬성하는 입장을 보였다.

보스틱 총재는 현재의 인플레이션 상승 압력과 경기침체 우려를 모두 고려할 때 연준이 올해 기준금리를 한 차례만 인하하는 것을 선호한다면서 "연내 1회 인하 입장에 좀 더 기울어 있는데, 이는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또 무역 협상 진전 속도에 따라 변동이 가능하다면서도, 신용등급 하향 여파 등을 파악하기 위해 3∼6개월 기다릴 필요가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앞서 국제 3대 신용평가사 중 하나인 무디스는 지난 16일 재정적자 등을 이유로 미국 국가신용등급을 가장 높은 'Aaa'에서 'Aa1'으로 한단계 낮췄다.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는 불확실성을 언급하면서 더 많은 정보를 얻을 때까지 관망해야 한다고 했다.

필립 제퍼슨 연준 부의장도 이날 한 행사에서 "현재의 불확실성 수준을 감안할 때 시간이 가면서 정책이 어떻게 전개되고 여파를 미칠지 관망하는 게 적절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제퍼슨 부의장은 신용등급 하향을 다른 모든 정보와 동일한 관점에서 접근하겠다면서, 정치경제적 맥락을 언급하지 않을 것이며 연준의 물가·고용 목표 달성과 관련한 의미를 평가하겠다고 했다.

연준을 향해 금리 인하를 압박해온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3일에도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연준은 유럽과 중국이 한 것처럼 금리를 내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뉴욕·서울=연합뉴스) 이지헌 특파원 차병섭 기자

pan@yna.co.kr

bscha@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