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 중국 거센 추격에 미국 관세 압박까지…겹악재 맞은 K반도체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고대역폭 메모리(HBM)로 재도약에 나선 한국 반도체 업계가 중국 메모리 업체들의 거센 추격과 트럼프발 관세 압박 등의 겹악재를 만나 또다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미국 반도체 수출 비중이 크지 않은 데다 사실상 대체재가 없는 만큼 관세 부과로 인한 피해는 크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지만, 가뜩이나 중국 업체들의 저가 물량 공세로 어려움을 겪는 상황이어서 위기감이 고조되는 모습이다.

  • 금값 3천달러 가시권…트럼프 관세 확대에 고공행진

    국제 금값이 고공행진을 지속하면서 온스당 3천달러를 가시권에 두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 전선을 확대하면서 안전자산 수요가 몰리면서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금 현물가격은 10일(현지시간) 온스당 2천911.

  • 충격과 공포의 트럼프노믹스…"미국 경제 냉각 우려"

    '충격과 공포'의 트럼프노믹스가 미국 경제를 냉각시킬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고 블룸버그가 1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블룸버그는 "월가의 분석가들이 빠르고 격렬한 트럼프 2. 0이 미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재평가하기 시작했으며, 성장에 대한 위험은 전면에 있는 반면 보상은 일러야 내년까지 가시화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경고가 일각에서 나온다"고 전했다.

  • 美, 내달 12일부터 한국 등에 25% 철강 관세…기존 면세쿼터 폐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0일(현지시간) 발표한 철강·알루미늄 25% 관세가 한국에도 전면적으로 적용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관세를 앞세운 트럼프발 보호주의 '무역전쟁'이 본격 시작한 가운데, 한국도 영향을 피할 수 없게 됐다.

  • 커피도 '패닉 바잉'…6% 급등하며 연일 사상 최고치

    공급부족 우려가 번지면서 국제 상품시장에서 커피 가격이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10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커피 벤치마크로 꼽히는 미국 뉴욕 ICE 거래소의 커피 선물 가격은 이날 6. 2% 상승하며 파운드당 4.

  • 막오른 트럼프 관세전쟁…"美가 더 잃어" 일각선 부메랑 우려

    미국에 수입되는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25%의 관세를 일괄 부과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조치는 전세계를 '관세 전쟁'의 격랑으로 몰아넣는 동시에 미국 현지 기업 일각에도 상당한 역효과를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의 철강·알루미늄 업체들은 혜택을 볼 것으로 관측되지만, 철강과 알루미늄을 사들여 제품을 생산하는 업체 등에는 타격이 불가피하며 그 여파는 소비자들에게도 미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 한인 업소들 '더블 특수' 기대감 '들썩'

    한인 업소들이 발렌타인데이(14일)와 프레지던트데이(17일) 연휴를 앞두고 매출 상승 기대감에 부풀어 있다. 올해는 발렌타인데이에서 시작된 소비 열기가 프레지던트데이 연휴까지 이어져 특수가 겹치는 더블 특수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 '그림의 떡'이지만 남는 건 집밖에 없다

    고공행진을 지속하고 있는 집값과 유지 비용 급증하면서 주택을 소유하는 일이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으로 치솟고 있는 가운데 미국인들의 상당수는 주택 소유가 삶의 핵심 성공 가치로 여기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 부동산 정보업체 리얼터닷컴이 미국 성인 22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 중 75%가 주택을 소유하는 것이 아메리칸 드림의 필수 요소로 생각하고 있다고 답했다.

  • 겨우 19세 '머스크 키즈' 임명 논란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뇌신경과학 스타트업인 뉴럴링크에서 인턴으로 짧게 일했던 19세 인사가 미국 국무부의 정보기술(IT) 담당 선임 고문으로 임명돼 정부 내에서 우려가 나오고 있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10일 보도했다.

  • 관세 부과로 직격탄 맞을라 '전전긍긍'

    지난해 북미 시장에서 한국 주요 기업들의 매출이 20%가량 증가한 가운데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본격화할 경우 올해 우리나라 기업들의 실적에 상당한 영향이 있을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특히 북미에서 매출이 급격히 증가한 반도체를 포함한 정보기술(IT)·전기전자, 제약·바이오 분야 기업들이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점쳐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