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黨 돌풍 


총선 4개월전 더민주 나와 '올인' 野통합 거부, 독자노선 승부 성공…호남 얻고, 중도표 흡수
 
"죽어도 광야서 죽겠다" 양당 체제 심판론 호소 적중
 3당 체제 안착 과제…문재인과의 대선 경쟁 큰 숙제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는 4·13 총선으로 차기 대선 주자로서 입지를 확실히 다지게 됐다. 국민의당이 교섭단체(20석)를 훌쩍 넘는 기대 이상의 성과를 거뒀고, 안 대표 자신도 서울 노원병에서 승리했다.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할 때 내걸었던 '3당 체제 정립'에도 성공했다.

 국민의당이 야권 분열만 초래할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여권 지지층까지 끌어들이며 여권에 패배를 안긴 만큼 안 대표는 다른 야권 대선 주자들과의 비교 우위도 점하게 됐다. 국민의당 관계자는 "합리적 보수층까지 흡수할 수 있는 '중도 성향' 대선 후보로서의 안 대표의 존재감이 다시 커졌다"고 했다.

 안 대표는 4·13 총선 꼭 4개월 전인 지난해 12월 13일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하고 '양당(兩黨) 체제 심판론'을 호소하며 지난 2월 국민의당을 창당했다. 호남 현역들이 안 대표를 뒤따라 더민주를 탈당했고 안 대표는 창당 과정에서 '반(反) 문재인' 정서의 진앙인 호남을 순회하며 지지를 얻었다. 그러나 창당 초기엔 교섭단체(20석)를 구성할 수 있을지조차 회의적인 전망이 많았다. 게다가 지난 3월 더민주 김종인 대표가 '당 대 당 통합론'을 다시 제기하고, 당내 천정배·김한길 의원 등 당내 통합론자까지 김 대표 논의에 동조하자 안 대표의 정치적 입지는 위기에 처했다.

 그러나 안 대표는 "죽어도 광야에서 죽겠다"며 '통합·연대 불가론'을 고수했고 결국 당내 분란을 진압했다. 야권 관계자는 "'3당 체제 정립'이라는 목표를 향해 흔들림 없이 나아가는 모습에 국민이 점수를 준 것"이라고 했다. 이번 선거에서 국민의당이 호남(28석)을 거의 석권한 것 역시 안 대표의 정치적 자산(資産)이 될 전망이다. 안 대표에 대한 '호남의 선택'이 증명된 것이다. 수도권 비례대표 정당투표에서는 국민의당이 더민주를 앞서면서 안 대표가 주장한 '교차투표론'이 유효했다는 사실도 나타났다.

 안철수 대표에겐 3당 체제 안착이라는 과제가 남아 있다. 더민주가 예상보다 선전하며 제1야당의 '이름값'을 지켜낸 만큼, 안 대표에게 '야권 분열 책임론'을 제기할 가능성은 적다. 하지만 대선을 앞둔 상황에서 문재인 전 대표 등 더민주 대선 주자들과 경쟁하면서 얼마나 주도권을 쥘 수 있느냐가 숙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