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 과학자·경영자 350여명, AI 위험성 경고…"핵무기에 비견"

    (뉴욕=연합뉴스) 고일환 특파원 = 급속도로 발전하는 인공지능(AI)의 위험성에 대해 IT기업 경영자와 과학자 350여명이 경고의 목소리를 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30일 비영리단체 'AI안전센터'(CAIS)가 인류의 절멸 가능성까지 언급하면서 AI 기술 통제 필요성을 주장하는 성명을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 "다크초콜릿 먹으면 기억력 증진 효과"

    (서울=연합뉴스) 강진욱 기자 = 다크 초콜릿에는 뇌 기능을 높여주는 플라바놀이 함유돼 있어 특히 노인들의 기억력 증진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더타임스는 30일(현지시간)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실린 보고서를 인용해, 컬럼비아대학 등의 연구진이 홍차와 사과, 베리류 또는 다크초콜릿 한 조각만으로도 정신을 맑아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전했다.

  • '슈퍼 박테리아' 잡을 새로운 항생제, AI로 찾았다

    (서울=연합뉴스) 최재서 기자 = '슈퍼 박테리아'(항생제에 내성을 지녀 쉽게 제거되지 않는 세균)를 잡을 새로운 항생제를 발견하는 데 인공지능(AI) 기술이 사용돼 주목된다. 25일(현지시간) 영국 BBC와 가디언 등에 따르면 캐나다 맥마스터대와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연구진은 최근 과학저널 네이처 케미컬 바이올로지(Nature Chemical Biology)에 논문을 게재해 슈퍼 박테리아를 제거할 새로운 항생제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 한국 '뉴 스페이스' 시대 활짝 

    국산 우주 발사체 누리호가 실제 인공위성을 우주로 실어 나르는 ‘첫 실전 발사’에 성공했다. ‘인공위성 고객’을 무사히 우주 궤도에 올리는 데 성공하면서 민간 기업이 우주 개발을 이끄는 ‘뉴스페이스(New Space)’ 시대로의 첫발을 내디뎠다.

  • "2032년 달, 2045년엔 화성"

    각국 주요 외신은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3차 발사에 성공해 실용급 위성 발사체로서의 첫 데뷔를 이룬 소식을 빠르게 전하며 “한국이 자체 기술로는 처음으로 실용급 위성을 궤도에 안착시켜 항공 우주 프로그램의 또 다른 핵심 단계를 밟았다”고 평가했다.

  • 尹 "우주 강국 G7 진입 쾌거"

    윤석열 대통령은 25일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SLV-II) 3차 발사가 성공하자 "우리나라가 우주 강국 G7(주요 7개국)에 들어갔음을 선언하는 쾌거"라고 축하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입장문을 통해 "자체 제작한 위성을 자체 제작한 발사체에 탑재해 우주 궤도에 올린 나라는 미국, 프랑스, 일본, 러시아, 중국, 인도밖에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 "이제 우리도 우주 강대국 반열"

    "역사에 기록될 이 순간, 이곳에 있다는 게 감격스럽네요. ". 25일 오후 6시 24분께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발사되자 전남 고흥군 우주 발사전망대는 열광의 도가니가 됐다. 카운트다운에 맞춰 나로우주센터가 희뿌연 연기로 뒤덮였고, 그 연기 사이로 누리호가 모습을 드러내자 수백명의 관람객은 일제히 환호성을 질렀다.

  • 4·5·6차…한국형 '스페이스X' 만든다

    국내 독자 기술로 개발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 3차 발사가 성공으로 끝나면서 앞으로 예정된 4차∼6차 발사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누리호 3차 발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2027년까지 진행하는 '한국형발사체 고도화 사업'의 일부다.

  • 尹 "우주 강국 G7 진입 쾌거"

    윤석열 대통령은 25일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SLV-II) 3차 발사가 성공하자 "우리나라가 우주 강국 G7(주요 7개국)에 들어갔음을 선언하는 쾌거"라고 축하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입장문을 통해 "자체 제작한 위성을 자체 제작한 발사체에 탑재해 우주 궤도에 올린 나라는 미국, 프랑스, 일본, 러시아, 중국, 인도밖에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 전 구글 CEO "AI, 머잖아 수많은 인간 죽일 수도"

    (서울=연합뉴스) 유한주 기자 = 에릭 슈밋 전 구글 최고경영자(CEO)는 가까운 미래에 인공지능(AI)이 많은 인간을 다치게 하거나 죽일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 포브스에 따르면 슈밋 전 CEO는 24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주최한 CEO 협의회에서 AI가 실존적 위험을 가하고 있다면서 "실존적 위험이란 아주 아주 많은 사람이 다치거나 죽는 것을 뜻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