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면 속 이물질 논란은 어제 오늘의 이야기가 아니다. 특히 곰팡이는 식품의 제조와 유통, 보관에서 쉽게 발생할 수 있는 이물질로 발생 빈도도 높다.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지난해 식품업체 이물보고 자료 분석 결과, 식품 속에 가장 많이 들어간 이물질 중 1위가 벌레로 2251건을 기록했고 2위가 곰팡이로 622건을 기록<본보 4월13일자 보도>했다. 

 문제는 곰팡이 라면의 경우 책임소재를 가리기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데 있다. 라면제조업체와 마켓, 그리고 소비자 모두 곰팡이 라면의 원인 제공자에서 자유로울 수 없고 책임면에서 서로 발을 빼기 급급할 수 밖에 없다. 문제 원인을 가리지 못하니 개선책이 있을리 없고 그래서 라면 속에서 발견된 곰팡이 등 각종 이물질은 자주 뉴스거리가 된다. 이번 문제도 그 연장선상에서 발생한 것이다.

 이번 사건에서 기자가 주목했던 것은 한국산 식품의 안전성에 대한 정보에서 한인들이 일정부분 소외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번 곰팡이 라면이 발생한 한국에서도 몇몇 언론에서만 기사화했을 뿐 LA지역에선 제대로 알려지지 않아 많은 한인들이 모를 수 밖에 없었다. 

 한국서 발생한 문제라 그냥 지나칠 수도 있었겠지만 해당 라면은 한국에서 LA 등 미국으로 수입되고 있는 상황이었다. 특히 미국으로 수입되는 한국 라면에는 유통유효일만 표기될 뿐 제조일이 표기되지 않아 한인 소비자들은 한국산 식품의 안전성 정보에 어두울 수 밖에 없다. 

 미국에 살고 있는 한인들이 한국산 먹거리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곳은 제품을 판매하는 마켓 등 판매처나 해당 제조업체다. 더욱이 곰팡이 등 이물질이 발견된 제품의 문제를 마켓이나 제조업체가 자진해서 적극적으로 소비자들에게 알려주길 바라기는 무리다. 결국 신문이나 방송 등 로컬 한인 언론이 침묵하면 쉽게 묻혀버릴 수 밖에 없다. 

 한국산 먹거리와 관련해 한인들이 겪는 어려움은 불량 제품에 대한 환불과 교환, 그리고 시정 요구하기가 매우 어려운 현실에서 기인한다. 한인들이 클레임을 할 수 있는 곳이 구입한 마켓과 해당업체이다. 해당업체는 대부분은 마켓에게 교환과 환불 책임을 떠넘기고 마켓은 영수증과 원인을 놓고 소비자와 대립한다. 아직도 많은 한인 소비자들 사이에서 한국산 제품 클레임에 대한 불만이 터져 나오는 것은 개선되지 않는 실태를 반증한다.

 이번 '곰팡이 라면'을 취재하면서 한국산 먹거리의 안정성에 대해, 한인들이 소비자로서 누려야 하는 당연한 권리에 대해, 그리고 언론의 책무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