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단계 임상서 윤곽 드러나나 개발 속도 내느라 절차 간소화한 탓

(서울=연합뉴스) 현혜란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개발에 전 세계가 열을 올리고 있으나 백신이 개발된다고 하더라도 얼마나 오래 효과가 있을지는 아직 베일에 가려져 있다.

백신을 맞아 형성된 항체의 지속기간은 대개 2단계 임상시험에서 가늠할 수 있지만 이번에는 개발에 전례 없는 속도를 내느라 몇몇 절차를 생략하다 보니 발생한 문제라고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 제약업체 화이자와 모더나, 영국 옥스퍼드대학 등이 개발 중인 백신 후보군은 항체 생성을 유도하는 데 성공했지만, 언제까지 효과가 있는지는 알기 이른 단계라는 것이다.

화이자에서 백신 연구개발을 총괄하는 필립 도르미처는 "불행히도 지속기간과 면역성을 알아내려면 시간이 더 걸린다"고 말했고, 모더나 최고의료책임자(CMO) 탈 잭스도 백신의 지속력을 결론짓기에는 너무 이르다고 선을 그었다.

옥스퍼드대학 연구진도 개발 중인 백신 후보물질의 지속력은 현재로서 알 수 없지만, 얼마나 지속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이런 여건 속에서 백신의 지속기간을 추측하기 위해 전 세계 연구진과 개발진은 코로나19에 걸렸다가 회복한 환자들의 항체가 얼마나 몸속에 남아있는지를 관찰하고 있다.

미국 국립보건원(NIH) 프랜시스 콜린스 원장은 회복한 환자가 1년이 지나도 다시 감염되지 않는다면 백신이 최소 1년은 버티게 만들어줄 수 있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뉴욕 마운트 시나이 병원 측이 코로나19 환자 2만여명을 상대로 진행한 초기 연구 결과를 보면 이들 환자 대부분이 중간 또는 높은 수준의 항체를 보유하고 있었다.

하지만 낙관할 수만은 없는 상황이다. 코로나19 환자들 몸속에 형성된 항체는 증상 발현 후 2∼3개월이 지나면 서서히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들도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영국 연구진이 코로나19 환자 65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예비 연구 결과에서는 94일 후 항체가 줄어들었고, 모더나의 실험에서는 백신 후보물질 2차 접종 2주 후 항체가 증가했다가 4주 후 감소했다.

마운트 시나이 병원이 코로나19 환자 120여명을 3개월 후 다시 진찰했을 때 대부분 항체를 보유하고 있었으나 그 숫자는 약간 줄어들어 있었다. 더는 아프지 않으면 항체가 감소하는 건 당연한 일이라고 의료진은 설명했다.

runra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