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 미군기지 시설 서울안의 '아메리카 타운' 콘셉트…카페·전시공간·공연장소로 탈바꿈
[뉴스포커스]
안전성 문제 없으면 9월에 임시 개방 추진
대통령 집무실 앞 잔디밭 '소통'광장 조성
새 정부가 들어서면서 서울에 '리틀 LA'가 생긴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측은 용산 국방부 청사로 이전되는 대통령 집무실 주변의 미군기지 시설 일부를 9월 중 국민들에게 개방한다. 특히 반환되는 미군기지 시설은 서울 안의 ‘아메리카 타운’, ‘리틀 LA’ 콘셉트로 카페나 전시공간 공연장소 등 문화공간으로 변신시킬 계획이다.
윤 당선인 측은 반환 미군기지에 안전성 문제가 없다고 판단되면 오는 9월 미군기지 시설 일부를 일반에 공개할 계획이다.
주한미군이 이달 말 조기반환할 예정인 곳은 집무실 앞뜰 인근의 약 50만㎡ 규모 부지다. 주한미군이 사용해온 종교시설, 학교·유치원 등 교육시설, 관사, 운동장과 야구장·축구장 등 각종 스포츠시설 등이 개방 대상에 포함된다.
당초 윤 당선인측은 반환되는 기지를 포함해 국방부 앞뜰을 용산공원으로 탈바꿈시킬 계획이었다. 하지만 공원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5~7년이 걸리는 환경영향 평가를 거쳐야 하기에 간단한 인체 유해성 평가만으로 가능한 임시 개방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와 더불어 용산 대통령 집무실 건물에서 직선거리로 약 250∼300m가량 떨어진 헬기장을 중심으로 잔디밭 광장을 만들 계획이다. 이는 백악관 잔디밭을 벤치마킹한 것으로 대통령과 국민의 소통공간으로 활용하겠다는 방침이다. 잔디밭 면적은 현 청와대 녹지원의 두 배가량 규모이며 취임 후 한두 달 이내에 조성할 계획이다.
윤 당선인 측은 대통령 집무실을 용산으로 이전한 핵심 이유가 국민과의 소통에 있는 만큼 집무실 주변 환경도 최대한 국민들에게 열려 있는 모습을 유지할 방침이다. 그 일환으로 집무실과 용산공원 사이에는 2.4m 높이의 철제 펜스만 칠 예정이다. 성인 키를 조금 넘는 높이로 일반인들이 펜스 사이로 경내를 들여다볼 수 있는 미국 백악관 스타일을 벤치마킹했다. 대통령 집무실 주변을 방문하는 국민들이 윤 당선인 집무실을 확인할 수 있을 정도로 대통령의 일하는 모습을 투명하게 공개하겠다는 것이다.
<관계기사 1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