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년전 전투 중 포탄 파편 허벅지 부상, 미군 "입증 서류 불충분" 퍼플 하트 수여 거절

[월요화제]

10년 전 뒤늦게 신청…軍 4월 최종 거부 결정
가족들 "기록보다 수훈이 더 중요" 소송 제기
오래된 전쟁, 참전용사 공훈 인정받기 어려워

미네소타주 출신의 한국전 참전용사인 얼 메이어는 아흔 여섯살이 된 지금도 70여년 전 적의 포화 속에 진격하다 왼쪽 허벅지에 포탄 파편을 맞았던 순간을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다.
메이어의 허벅지에는 아직도 파편이 남아있다. 신경에 너무 가까이 박혀있는 바람에 제거수술이 더 위험하다고 해 그대로 뒀다. 의사들도 이 상처가 전투 중 박격포 파편에 맞아 생겼을 가능성이 있다고 인정했다. 하지만 그는 전투 중 다친 미군에게 미국 정부가 수여하는 퍼플하트 훈장을 아직 받지 못하고 있다. 뒤늦게 훈장을 신청했다가 입증 서류가 불충분하다는 이유로 거절당했기 때문이다.

AP통신은 10일 메이어의 사연을 소개하면서 전쟁의 혼란과 기록 부족, 오랜 세월의 흐름 속에 참전용사들이 공훈을 인정받기가 얼마나 어려워질 수 있는지 보여주는 사례라고 보도했다.
메이어는 1951년 6월 한국전 전투 중에 파편을 맞았다.
그는 "처음에는 다친 줄도 몰랐다. 하지만 박격포탄이 떨어지는 곳에서 피투성이가 된 허벅지를 발견했다"고 말했다.  부상이 당장 전장에서 빠질 정도는 아니었다고 여긴 그는  다른 군인들에 비해 크지 않은 부상이라고 생각해 퍼플하트를 신청할 생각도 안했다.

그러다 약 10년 전에 아버지가 어떻게 상처를 얻었는지 알게 된 딸들이 그를 설득해 퍼플하트 훈장을 신청했다. 하지만 이를 입증할 기록이 충분치 않았다.
메이어는 파편을 맞은 며칠 후 허리를 다쳐 미군 이동외과병원(MASH)으로 이송된 뒤 다시 병원선으로 옮겨졌다. 구멍이 뚫리고 피 묻은 바지를 입고 있던 상태였다. 
당시 그는 전쟁터에서 죽지 않고 살아나왔다는 사실을 기뻐하기만 했지 부상 관련 서류를 챙길 생각은 전혀 하지 못 했다. 부상을 치료해준 의무병이 당연히 제출했겠거니 여겼지만, 남은 서류는 없었고  의무병도 전사했을 가능성이 높다.

결국 당시 기록 가운데 파편 부상과 관련이 있는 것은 입원할 때 맞은 파상풍 주사 정도였다. 메이어는 지난 2005년 '다리부상이 전투중에 생겼을 가능성이 50대 50'이라고 언급한 미니애폴리스의 보훈병원 의사들의 의견서와 함께 2020년 퍼플하트 훈장을 신청했지만 육군은 더 많은 입증 서류가 필요하다고 반려했고 지난 4월 최종 거부 결정을 내렸다.

메이어는 결국 지난 9월 국방부와 육군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그의 변호사는 이전에 메이어와 유사한 경우에 퍼플하트를 수여한 사례가 있으며, 수훈 결정을 의무기록에만 의존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1952년 명예제대한 메이어는 지상전투 최일선에 참여한 군인에게 주는 '전투보병휘장'과 제2차대전 때 상선단 소속에 주어진 '의회 명예 황금 훈장'을 받았다. 이에대해 메이어의 딸은 "퍼플하트를 받는 것이 아버지에게 마무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퍼플 하트 (Purple Heart) 훈장은. 
1782년 대륙군 최고사령관이었던 조지 워싱턴 장군이 제정한 미군 최초의 훈장(사진). 훈장 디자인이 보라색 천에 하트 모양의 장식물을 매달라 퍼플 하트로 불린다. 
더글라스 맥아더 장군이 처음으로 이 훈장을 받았다. 이 훈장은 전쟁 중 사망자나 부상자 등에 주로 수여되지만 시대가 바뀌면서 수훈대상도 점차 확대돼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