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미국의 30년 고정 모기지(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치솟자, 미국 청년 3명 중 1명은 평생 ‘내 집 마련‘은 불가능하다고 응답했다.
지난달 미국 30년 고정 모기지금리는 20여년 만에 최고 수준인 8% 선까지 올랐다.

이 가운데 미국 인터넷 매체 액시오스(AXIOS)는 주택 구입 비용이 상승해 많은 미국 청년이 자가 소유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보도했다.
미국 국책 담보대출업체 프레디맥이 지난해 14세∼25세 미국인 174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 34%가 ‘재정적 문제로 내 집 마련이 불가능하다’고 답했다. 2019년에는 27%의 청년이 주택 구입이 불가능하다고 응답했다.

청년들이 꼽은 내 집 마련의 가장 큰 장애물은 다운페이먼트(39%)였다. 낮은 신용등급 및 고용 불안정(27%), 학자금 대출 상환(22%), 신용카드 빚(11%)이 뒤를 이었다.
프레디맥 부사장 팸 페리는 “주택 가격 상승과 매물 부족 등으로 미국의 부동산 시장에 많은 경제 문제가 발생했다”며 “이에 청년들의 내 집 마련 희망이 약해진 것”이라고 진단했다.

모기지금리 급락, 주택 수요 '꿈틀'

최근 모기지금리가 급락하면서 다시 주택 수요가 꿈틀하고 있다.
미국 모기지 협회에 따르면 지난주 30년물 모기지 고정금리가 전주보다 0.2%포인트 하락한 7.41%를 기록했다. 이로써 모기지 금리는 지난 4주 동안 0.5%포인트 정도 급락했다. 지난 8월에만 해모기지 금리가 급락함에 따라 신규 주택 구입 신청이 지난주 3.9% 급등, 지난 6월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