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알폴리티크' 외교로 미중수교 물꼬·미소 데탕트·베트남전쟁 종식

가치보다는 국익…칠레 사회주의 정부 전복·캄보디아 폭격 등에 비판도

(서울·워싱턴=연합뉴스) 노재현 김정은 기자 강병철 특파원 = 미중 수교의 물꼬를 트고 미소 데탕트(긴장완화)를 이끈 미국 외교계의 거목 헨리 키신저 전 국무장관이 29일 100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키신저 전 장관의 국제외교정치 컨설팅사 '키신저 어소시어츠'는 이날 "존경받은 미국인 학자이자 정치인 헨리 키신저가 코네티컷 자택에서 별세했다"고 발표했다.

고인은 냉전의 세계 질서를 바꾼 전략가로 평가받는 외교계의 '살아있는 전설'로 통해왔다.

이른바 '레알폴리티크(Realpolitik)'를 추구한 그는 국제 정치에서 국가 이익이나 세력 균형을 중시하는 마키아벨리식 현실주의 접근법을 취했다.

'키신저 외교'라는 말을 만들어내기도 했던 그는 1960년대 말부터 1970년대 중반까지 미국의 외교정책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1972년 당시 닉슨 미국 대통령과 마오쩌둥 중국 주석간 정상회담 성사를 이끄는 등 미중 수교의 토대를 닦았다.

또 구 소련과의 데탕트를 조성하는 데도 큰 역할을 했으며 베트남전 종식에도 기여했다.

유대인 출신인 그는 1923년 독일에서 태어나 15세가 되던 해인 1938년 나치의 유대인 박해를 피해 미국 뉴욕으로 건너갔다.

1954년 하버드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그는 1969년 취임한 리처드 닉슨 대통령에 의해 국가안보보좌관에 발탁됐다.

그는 닉슨 대통령이 재선에 성공한 뒤 1973년 제56대 국무장관에 임명됐다. 그는 닉슨 대통령이 워터게이트 사건으로 사임한 뒤 대통령직을 이어받은 포드 정부에서도 두 자리를 계속 겸직하다 1975년 11월 안보보좌관에서는 물러났다.

미국 정치사에서 안보보좌관과 외교 수장을 겸직한 사람은 키신저 전 장관이 유일하다.

그는 특히 워터게이트 사건(1972~1974년) 때 닉슨 당시 대통령의 힘이 빠지면서 사실상 '공동 대통령'과 유사한 파워를 행사했다는 평가도 받았다고 AP통신은 전했다.

뉴스위크지는 1974년 표지에 키신저 전 장관을 '슈퍼 히어로'인 '슈퍼 K'로 묘사하기도 했다.

'키신저 외교'의 대표적 성과는 미중 수교의 토대 마련이다.

고인은 1971년 두차례 중국을 방문해 저우언라이 당시 총리와 회담했고 이를 통해 이듬해 닉슨 대통령의 방중 및 미중 정상회담이 성사될 수 있었다.

미국과 중국이 20여년의 적대관계를 청산하고 관계 개선에 나선 역사적 순간으로, 결국 미국과 중국은 1979년 공식적으로 수교했다.

고인은 마오쩌둥 초대 중국 국가주석부터 현 시진핑 주석까지 중국의 지도자를 상대한 유일한 미국인이라는 평가도 받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는 보도했다.

그는 중국 지도자들과의 대화를 비롯한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중국의 문화와 세계 질서에 대한 시각 등을 분석한 '중국 이야기'(On China)란 책을 2011년 출간하기도 했다.

키신저 전 장관은 소련과의 데탕트 전략으로 1969년부터 전략무기제한협정 협상을 주도해 1972년 협정을 맺었다.

그는 또 이른바 미치광이 전략을 토대로 1973년 파리에서 북베트남 정부와 휴전협정을 체결했다. 고인은 베트남전 종식에 기여한 공로로 당시 베트남측 협상대표와 함께 1973년 노벨평화상을 받았다.

그는 4차 중동전쟁(1973년) 때 이스라엘과 이집트 등 아랍국가를 오가면서 중재 외교를 벌였으며, 이 일은 '셔틀 외교'라는 말이 탄생하는 계기가 됐다.

'키신저 외교'는 미국 내에서 강한 비판을 받기도 했다.

그는 칠레의 사회주의자 대통령 살바도르 아옌데 고센의 정부를 전복시키는 군사쿠데타를 지원했으며 베트남 전쟁 중 베트콩 소탕을 내세워 이웃나라인 캄보디아를 폭격하기도 했다.

또 1971년에는 파키스탄군의 동파키스탄(현 방글라데시)에 대한 '학살 전쟁'시 불법적인 무기 수송을 허가했으며 1975년 인도네시아군의 동티모르 침공을 승인하기도 했다.

NYT는 "키신저 전 장관만큼 뜨겁게 찬사와 비판을 동시에 받는 외교관도 드물다"면서 "2차 세계대전 이후 가장 강력한 국무부 장관이었던 그는 미국의 이익을 반영하기 위해 외교를 새롭게 짠 극단적 현실주의자(ultrarealist)로 칭송을 받는 동시에 국익에 도움이 된다면 심지어 인권 분야에서도 미국의 가치를 버렸다고 비판을 받기도 했다"고 평가했다.

키신저 전 장관은 현직 시 여배우들과 추문이 계속됐으며 "권력은 최고의 최음제"라는 말을 남기기도 했다.

키신저 전 장관은 한반도 문제에 대해서도 여러 발언을 하며 관심을 보였다.

그는 1975년 유엔총회에서 한반도 긴장완화와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4자회담 개최를 제안했다. 또 한국을 여러 차례 찾았고, 당시 현직에 있던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 대통령과 만났다.

키신저 전 장관은 1977년 1월 지미 카터 행정부 출범으로 국무장관에서 퇴임한 뒤에도 저술 및 연구, 강연 등으로 왕성한 활동을 펼쳤다.

그는 존 F. 케네디 대통령부터 조 바이든 대통령까지 역대 미국 대통령의 4분의 1이 넘는 12명의 대통령에게 자문을 제공했다고 NYT는 보도했다.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은 "미국이 외교 문제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고 뛰어난 목소리 가운데 하나를 잃었다"고 추모했다.

마이클 블룸버그 전 뉴욕시장도 "키신저는 비범한 삶에서 얻은 지혜를 끝없이 베풀었다"고 평가했다고 AP통신이 보도했다.

noja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