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 재외공관장 전원 사표 제출 요구…새 정부 출범 관행적 절차, 김영완 총영사 거취 주목

[뉴스포커스]

3년 4개월째 근무, 평상 임기 넘겨
연임과 교체놓고 외교가 전망 갈려
조현 외교부 장관 후보자 임명된후
재외공관장 재신임 절차 본격 진행

LA총영사의 향후 거취가 주목을 끌고 있다. 외교부가 LA총영사를 포함해 재외공관장에 대한 재신임 심사 작업을 위해 일괄 사직서 제출을 요구하고 나서면서다. 
이재명 한국 대통령이 전 정권에서 실추된 한국 외교의 위상 회복을 공언한 상황에서 전 정권에서 3년여의 임기를 넘긴 현 LA총영사가 교체 수순을 밟게 될지 아니면 실용을 강조하는 이 대통령의 인사 스타일이 반영돼 재신임을 받아 장기 연임에 들어갈지 초미의 관심사다.
현 김영완 LA총영사가 재신임에 의한 연임과 교체의 갈림길에 서게 된 것은 외교부의 재신임 작업이 시작됐기 때문이다.
외교부 등에 따르면 지난 15일 LA총영사를 비롯해 각국에 주재하는 모든 대사와 총영사 등 재외공관장들에게 공관장직에 대한 재신임 절차의 일환으로 사직서를 제출하라는 공문이 전달됐다.
이 같은 공관장 사직서 제출은 새 정부가 출범하면 관행적으로 이뤄지는 절차라는 게 외교부의 설명이다. 
앞서 한국 정부는 지난달 말 미국, 영국, 일본, 러시아 등 주요국 주재 특임 공관장 30여명을 대상으로 2주 내에 이임할 것을 지시한 바 있다. 특임공관장은 직업외교관이 아니더라도 대통령이 전문성과 자질을 갖췄다고 판단해 발탁하는 공관장을 말한다.
김영완 총영사의 거취를 놓고는 연임과 교체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김 총영사의 교체를 예상하는 배경에는 임기 문제가 자리잡고 있다. 김 총영사는 문재인 대통령 퇴임 직전인 지난 2022년 3월 부임했다. 2~3년여의 임기를 고려하면 임기를 훨씬 넘긴 시점이다. 여기에 윤석열 정부의 재신임을 받아 임기를 채운 것도 교체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전 정권이 임명한 특임공관장이 정권 교체에도 살아남을 수 있는 가능성은 매우 낮다는 현실론이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반면 김 총영사가 재신임을 받아 연임에 성공할 수 있다는 전망도 존재한다. 김 총영사는 외무고시 출신의 직업 외교관 출신이다. 과거 전례에도 새 정부가 들어서도 외교부 출신 공관장이 유임되는 사례들이 있었다. 전 정권이 임명한 총영사가 1년 이상 직을 유지하는 경우도 많았다. 특히 실용을 강조하는 이재명 대통령의 인사 스타일이 총영사 재신임에서도 힘을 발휘한다면 김 총영사의 연임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 외교부 측은 "이번 사직서 일관 제출은 그간의 관행"이라며 "실제로 공관장들이 사표를 제출하더라도 능력과 자질이 인정될 경우에는 새 정부에서 반려하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한편 조현 외교부 장관 후보자가 국회의 인사청문회를 통과해 임명될 경우, 재외공관장에 대한 재신임 절차가 본격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 주변 4강을 포함한 주요국 주재 대사에 대한 본격적인 인선 작업도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