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열병식서 시진핑 左김정은 右푸틴…"평화냐 전쟁이냐" 신냉전 구도 부각

원자바오 등 전직 지도부 참석한 가운데 후진타오·주룽지 불참한 듯

신형 ICBM·핵 3축 체계 등 첨단무기 공개…시 주석 "中 평화발전 견지"

중국이 3일 수도 베이징 톈안먼 일대에서 북한·중국·러시아 정상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제2차 세계대전 승전 80주년 기념 열병식을 개최했다.

이를 통해 글로벌 강대국으로 부상한 중국이 비(非)서방 개발도상국을 대표해 새로운 국제질서를 만들어가는 구심점이자 미국의 패권에 맞서는 북중러 '반미 연대'의 중심임을 안팎에 천명했다.

시진핑 집권 3기 최대 정치 이벤트인 이번 열병식은 현지시간으로 오전 9시(한국시간 오전 10시) 베이징 톈안먼 광장에서 시작됐다.

시 주석과 함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등 26개국 국가원수 및 정부 수뇌가 톈안먼 망루(성루)에서 열병식을 지켜봤다. 한국에서는 의전 서열 2위인 우원식 국회의장이 참석했다.

이 가운데 북중러 정상은 망루 가운데에 선 시 주석을 중심으로 왼쪽에 김 위원장, 오른쪽에는 푸틴 대통령이 자리했다. 이로써 탈냉전 이후 처음으로 3국 정상이 한자리에 모인 역사적인 장면을 연출하며 중국을 중심으로 한 반서방 연대의 결속을 과시했다.

이 장면은 또한 옛 소련시절까지 포함하면 1959년 김일성·마오쩌둥·흐루쇼프 회동 이후 66년 만에 3국 정상이 톈안먼 망루에 모였다는 점에서 한미일 대 북중러의 '신냉전' 갈등 구도를 부각했다.

중국 지도부 인사들로는 현 지도부 7명이 모두 참석한 가운데 원자바오 전 총리를 비롯해 장더장·위정성·리잔수·왕양·류윈산·왕치산·장가오리 등 전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위원들이 참석했다. 다만 건강이상설이 제기됐던 후진타오 전 주석과 주룽지 전 총리는 불참한 것으로 보인다.

열병식은 오전 9시께 리창 총리의 '중국인민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전승절) 80주년 기념행사' 개막 선언으로 시작했다.

초대형 국기를 앞세운 호위부대가 톈안먼 광장의 인민영웅기념비에서 행진을 시작하자 '승전 80주년'을 상징하는 80발의 예포가 발사됐다. 이어 중국 국가가 울려 퍼지는 가운데 게양대에 국기인 오성홍기가 올라갔다.

시 주석은 이어 기념연설을 통해 세계가 '평화와 전쟁, 대화와 대결'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에 있다고 강조하며 사실상 미국을 겨냥했다. 이를 통해 미국과의 패권경쟁과 무역전쟁 속에 중국이 평화와 국제질서의 수호자라는 메시지를 던졌다.

그는 이어 "중국 인민은 역사와 인류 문명의 진보라는 올바른 길에 굳건히 서서 평화 발전의 길을 견지하며, 세계 각국 인민과 함께 인류 운명 공동체를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역설했다.

이어 이날 기념행사의 메인 이벤트인 열병식이 이어졌다. 열병식은 시 주석이 군을 사열하는 검열(사열)과 각 부대가 톈안먼 광장을 행진하는 분열(행진) 등 두 단계로 약 70분간 이어졌다.

연설 뒤 무개차에 올라 톈안먼 앞으로 이동한 시 주석은 열병식 총지휘를 맡은 중부전구 공군사령원(사령관)인 한성옌(韓胜延) 중장의 보고를 받고 열병식 시작 명령을 내렸다.

시 주석은 이어 차량을 타고 창안제(長安街)에 도열한 각 부대를 사열하면서 '퉁즈먼 하오'(同志們好·동지 여러분 안녕하신가), '퉁즈먼 신쿠러'(同志們辛苦了·동지 여러분 수고했습니다)라고 인사했다.

부대원들은 '주시하오'(主席好·주석님, 안녕하십니까). '웨이런민푸우'(爲人民服務·인민을 위해 봉사할 따름입니다)라고 답하며 충성을 다짐했다.

이어진 분열식에서는 각 부대가 방진(네모꼴 형태의 진형)을 이뤄 차례로 톈안먼 광장 앞을 행진했다.

헬리콥터로 구성된 공중깃발호위편대가 공중에서, 의장대는 지상에서 중국공산당 당기·국기·인민해방군기 등 3개 깃발과 함께 앞장선 가운데 45개 부대(제대)가 차례로 톈안먼광장 앞을 지났다.

헬기편대는 중국 국기를 호위하면서 '80'이라는 숫자 대형을 이루거나 '인민필승·평화필승·정의필승' 문구가 적힌 플래카드를 걸고 비행했다.

그 뒤로 보병과 장비, 공중 부대 등이 뒤따랐다.

보병은 팔로군과 신사군, 동북항일연군, 화남유격대 등 중국공산당의 항일전쟁 역할을 강조하는 '노병'(老兵) 부대와 최신 군사력을 보여주는 현대군 부대로 구성됐다.

또 육상작전·해상작전·방공·미사일·정보작전·무인(드론 및 로봇)작전·후방지원·전략타격 등 부문별로 최신 무기 체계를 과시하는 행렬이 뒤따랐다.

특히 전략핵미사일 둥펑(東風·DF)-5C와 2019년 공개된 DF 41의 개량형으로 추정되는 장거리 미사일 DF-61 등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이 첫선을 보였고, 육·해·공에서 핵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는 '전략적 핵 3축 체계'가 최초 공개돼 관심을 모았다.

'괌 킬러'로 불리는 DF-26의 개량형인 DF-26D 등 극초음속 무기와 '중국판 패트리엇(PAC-3)'으로 알려진 요격 미사일 훙치(紅旗·HQ)-29 등 방공시스템도 공개됐다.

러시아의 수중 드론 '포세이돈'과 유사한 대형 무인 잠수정 'AJX002'와 스텔스 드론 등 무인 잠수정·항공기도 선보였다. 또 열병식장 상공에는 젠(殲·J)-20S와 J-35A 등 중국의 차세대 스텔스 전투기를 비롯해 조기경보 지휘기 및 전투기·폭격기·수송기 등 주력 군용기들이 비행했다.

지난해 개편된 '4개 군종(육군·해군·공군·로켓군)+4개 병종(군사우주부대·사이버부대·정보지원부대·병참보장부대)'에 따라 처음 열병식에 참여한 정보지원부대 군사우주부대, 사이버부대와 트럭에 실려 입장한 '로봇 늑대' 등도 눈길을 끌었다.

이번 열병식에는 2015년 승전 70주년 기념 열병식 때와 달리 외국 군대는 참여하지 않았다. 당시에는 17개국 군인 1천명이 톈안먼 광장을 함께 행진했으나 이번에는 중국군만 참여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전했다.

부대 행진에 이어 평화를 상징하는 비둘기 8만마리와 풍선 8만개가 하늘로 날아오르며 전체 기념행사가 마무리됐다.

이날 행사 전 과정은 관영 중국중앙(CC)TV를 통해 생중계됐으며 각종 인터넷을 통해 전 세계로 전송됐다.

또 톈안먼 광장의 주변에는 관람대가 설치돼 외국 대표단과 항일전쟁 참전 노병과 당시 중국을 지원한 외국 우호인사 대표, 해외 화교, 각 업계 초청인사 등 4만여명의 관중이 현장에서 열병식을 지켜봤다.

(베이징·서울=연합뉴스) 정성조 특파원 강종훈 권수현 김현정 권숙희 차병섭 기자 inishmor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