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산상속법 전문 변호사
2020-08-24 00:00:00
이번 칼럼은 부동산 명의이전을 회사로 했을 때 유의할 점과 재산세가 올라가는 것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을 다뤄보고자 한다. 현재 소유하고 있는 부동산을 보호받기 위해 유한합자회사, 즉 LLC(Limited Liability Company)를 만들어 놓고 정작 해당 LLC로 부동산의 명의이전을 하지 않고 있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런 뒤 해당 ...
2020-08-10 00:00:00
많은 손님들이 리빙트러스트를 만들면서 하는 질문이 “서류를 아이들에게 보여줘야 할까요?” 아니면 “트러스트를 만들었다는 것을 알려줘야 할까요?”이다. 필자는 대부분 알려드리라고 대답하는데, 손님으로부터 또 다른 질문이 따라온다. “그럼 우리 아이들이 이 내용을 알고 우리가 재산이 있는 걸 알면...
2020-07-27 00:00:00
부동산 소유주가 일년에 분기마다 내는 재산세 또한 유산상속 계획에 있어 꼭 고려해야하는 대상이다. 재산세 변화의 대표적 요인은 해당 부동산의 가치 상승 그리고 소유권 변동이다. 1978에 시행된 캘리포니아 주민발의안 13 (Proposition 13)은 해당 부동산의 매해 부동산세 상승을 2%로 제한하고 있다. 주민 발의안 13의...
2020-07-13 00:00:00
2020년도 대선이 다가오면서 자산가들의 걱정은 증여세 혹은 상속세의 감면이다. 현재 트럼프 행정부는 오바마 행정부일때보다 증여/상속 면제액이 거의 2배 이상으로 올려 놓은 상태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재선에 성공한다면 2025년도 까지는 해당 증여/상속 면제액이 계속 남아있으나 민주당이 정권을 탈환한다면 면제액이 다시 곤두박질쳐서 예전 오바...
2020-06-28 00:00:00
증여세 면제액이 높아지면서 부쩍 자녀에게 큰 재산을 증여하겠노라고 찾아오는 손님들이 늘고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2025년도까지 평생 쓸수 있는 증여세 면제액을 1140만 달러까지 올려놓았기 때문인데, 2026년도부터 증여/상속세 면제액이 어떻게 달라지질 지 모르니 미리 줄수 있을 때 증여하자는 분들이 늘고 있는 셈이다. 허나 증여는 지면을 통해 여러번 언...
2020-06-15 00:00:00
증여/상속세 면제액을 자녀에게만 쓸수 있다고 오해를 하는 이들도 있는데, 다행히 그렇지 않다(즉 증여/상속세 면제액은 피상속자(상속을 남기는 사람) 혹은 수증자(증여를 주는 사람)과 혈연/친인척 관계가 아니더라도 활용할 수 있다). 만약 자녀와 손주들에게 주는 재산의 범위가 평생 쓸수 있는 증여/상속세 면제액 보다 낮다면 괜찮으나...
노 컨테스트 조항 (No Contest Provision)
2020-06-01 00:00:00
부모가 리빙트러스트를 만들때 많이 걱정하는 부분은 자녀들간의 상속소송이다. 어떻게 하면 소송을 줄일수 있는 지 방법을 알려달라하는 데, 모든 이들에게 통하는 정답은 없다. 혹여라도 상속때문에 싸우면 “한푼도 받지 못하게 하라” 라는 조항을 넣어줄수 있냐고도 물어보는 데 실제로 캘리포니아에서 “노 컨테스트 (No Cont...
2020-05-18 00:00:00
부모가 살아 생전 누군가에게 돈을 빌려주고 부모 사망 후 자녀가 대신 그 돈을 변제받을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을 자주 받는다. 대답은 그때 그때 마다 다르다이다. 돈을 빌려주고 차용증을 잘 작성하고 더 나아가 상대방 재산에 담보설정(Lien)이라도 한다면, 그 해당 부동산을 판매하고자할 때 담보설정을 먼저 해결해야 판매가 이뤄지므...
2020-05-04 00:00:00
상속법 변호사를 하다 보면 자선단체에 기부를 하겠다라는 의뢰인들을 자주 접하게 된다. 허나 안타깝게도 한인단체에 기부하겠다는 의뢰인들은 소수를 이룬다. 대부분 미 주류사회에서 이름이 알려진단체에 기부하기를 원하는데, 이유를 들어보면 한인단체들은 단체장들이 싸우다가 결국 아무런 일도 못 끝낸 채 흐지부지되거나 혹은 본인이 기부한 기부금이 제대로 쓰이지 않을까...
2020-04-20 00:00:00
의뢰인들이 언제 자녀에게 재산을 증여하면 좋을 지 자주 물어본다. 다양한 각도에서 생각을 해봐야한다. 첫번째, 증여를 준 후 해당 자녀와 부모간의 관계는 계속 잘 유지될 수 있는 가? 너무 어린 자녀나 혹은 나이는 들었으나 재정에 관해 성숙치 않은 자녀에게 재산을 넘긴다라는 것이 좋을 것인가? 부모가 증여해준 재산을 해당 자녀가 잘 지켜낼수 있을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