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SJ "미국 경제 활력 되찾고 있다…소비자들 다시 지갑 열어"
미국 경제가 활력을 되찾고 있다고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0일(현지시간) 전했다. 지난 봄 관세 충격에서 벗어나 소비자들이 다시 지갑을 열고 있다는 것이다. 지난 4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를 상대로 상호관세 부과를 발표하자 미국 경제가 스태그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급등)에 빠질 것이라는 우려가 확산했다.
2025-07-21
-
유전 데이터로 아기 선별해 낳는다?…美 스타트업 '슈퍼베이비' 논란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한 스타트업이 제공하는 배아 유전체 검사 서비스가 '슈퍼베이비' 논란을 낳고 있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17일 보도했다. 난임 스타트업 '오키드헬스'는 배아를 대상으로 향후 발병 소지가 있는 수천 가지 질병을 검사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2025-07-21
-
"AI 도입 따른 기업 감원, 알려진 것보다 더 클 수 있어"
최근 기업들이 잇따라 인력 감축에 나서고 있는 가운데 인공지능(AI) 도입에 따른 감원이 기업이 밝히는 것보다 더 클 수 있다고 미 경제 매체 CNBC 방송이 2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주식 시장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고 경제 지표가 좋은데도 기업들이 대규모 감원을 단행하는 것은 AI 도입에 따른 것인데도 기업들은 이를 직접적 감원의 이유로 밝히지 않는다는 것이다.
2025-07-21
-
국적 항공사 대한항공과 합병을 앞둔 아시아나항공의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 이전 시기가 내년 1월 중순으로 확정됐다. 17일 인천공항공사에 따르면 인천공항공사와 서울지방항공청, 아시아항공이 최근 회의를 열고 내년 1월 중순 이전까지 아시아나항공의 제2여객터미널로 이전하기로 최종 합의했다.
2025-07-21
-
에어프레미아가 LA노선 취항 3주년을 앞두고 하반기 최대 규모의 항공권 할인 행사 ‘프로미스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이번 할인 행사는 LA노선을 포함해 정기편 전 노선을 대상으로 하며 오는 21일 오전 10시(LA시간 22일 오후 6시)부터는 나리타, 방콕, 다낭, 홍콩 등 아시아 노선이, 오는 24일 오전 10시(LA시간 23일 오후 6시)부터는 LA, 뉴욕, 샌프란시스코, 호놀룰루 등 미주 노선이 순차적으로 판매된다.
2025-07-21
-
최고가 기록 쓰는 미 증시…'가치 타당성' 논쟁도 불붙어
선행 주가수익비율 22. 2…최근 10년 평균보다 20% 가까이 높아. 트럼프발(發) 관세의 위협이 여전한 가운데 최근 미국 증시가 잇따라 사상 최고가 기록을 쓰면서 현재의 가치평가가 타당한지를 두고 논쟁이 한창이라고 로이터 통신이 1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2025-07-18
-
웰스파고에서 무역금융을 담당하는 한 간부가 최근 중국을 방문했다가 출국이 금지됐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7일 보도했다. WSJ에 따르면 상하이 태생으로 애틀랜타에서 웰스파고의 중역으로 재직 중인 마오천웨는 몇주 전 중국에 입국했다가 출국금지에 처했으며, 사유는 확인되지 않았다.
2025-07-18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오락가락 ‘관세 전쟁’이 장기화 조짐을 보이면서 미국에서는 한국 화장품 사재기 광풍이 불고 있다. 관세 폭탄에 따른 가격 상승 우려가 번진 탓이다. 17일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LA에 사는 한인 여성 에스더 리(32)씨는 최근 온라인으로 1년 치 한국 화장품을 구매했다.
2025-07-18
-
월가 전문가 "미 증시 'AI 버블', 'IT 버블' 때보다 더 심각"
최근 뉴욕증시에서 인공지능(AI) 관련 주식의 버블이 1990년대 말 '정보기술(IT) 버블' 때보다 심각하다는 월가 전문가의 경고가 나왔다. 자산운용사 아폴로 글로벌 매니지먼트의 토르스텐 슬록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16일(현지시간) 보고서에서 "1990년대 IT 버블과 현 AI 버블의 차이점을 들자면 현재 뉴욕증시 시총 상위 10개 기업이 1990년대 상위 10개 기업보다 더 고평가됐다는 점"이라며 이처럼 경고했다.
2025-07-17
-
트럼프 관세 맞고 가격 뛸라…한국 화장품 사재기하는 미국인들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에 사는 한국계 미국인 에스더 리(32)씨는 최근 온라인으로 1년 치 한국 화장품을 샀다. 아이라이너와 자외선차단제를 여러 개씩 담자 수백 달러가 나왔다. 평소 구매량의 3배였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월1일부터 한국에 대해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한 가운데 한국 화장품의 가격이 오르기 전에 사재기를 한 것이다.
2025-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