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가 적시한 8가지 비관세장벽…첫번째는 '환율 조작'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0일(현지시간) 전세계 무역상대국이 미국을 상대로 그동안 취한 대표적인 '비관세 부정행위'(NON-TARIFF CHEATING)라며 8가지 유형을 소개하면서 자신의 관세정책 정당성을 내세웠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 소유 소셜미디어인 트루스소셜에 "'해방의 날'(4월 2일 상호관세 발표일) 선포 이후 많은 세계 지도자와 기업 경영자들이 관세 완화를 요청하러 나를 찾아왔다"면서 "우리가 진지하다는 점을 세계가 알고 있다는 건 좋은 일이다.
2025-04-21
-
금값 3,400달러 첫 돌파…골드만삭스 "내년 4,000달러 가능성"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정책에 따른 세계 경제 불확실성이 이어지는 가운데 21일(현지시간) 국제 금값이 사상 최고가를 또다시 새로 썼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6월물 금 선물 가격은 이날 한국시간 오후 3시 45분 기준 전장 대비 2.
2025-04-21
-
관세 역풍 현실로…"미국 중소기업들, 가격 인상 계획"
미국에서 관세발 물가 상승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미국 중소기업들이 관세로 인해 늘어나는 비용을 제품 가격 인상으로 소비자에게 전가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보스턴 연방준비은행(연은)이 지난해 12월 말부터 올해 1월 초까지 400곳이 넘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한 분석에서 이같이 나타났다고 야후파이낸스가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2025-04-21
-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전방위적 관세정책 여파로 세계 경제 성장률 둔화에 대한 우려가 나오는 가운데, 경제 지표들도 경고음을 내고 있다. 20일(현지시간) 미국 싱크탱크 브루킹스연구소가 파이낸셜타임스(FT)와 공동으로 발표한 '세계 경제 회복 추적 지수'(타이거 지수)에 따르면 이번 달 전 세계 타이거 지수는 5.
2025-04-21
-
CBB뱅크의 새로운 행장으로 리처드 고(사진) 최고재무책임자(CFO)가 임명됐다. CBB뱅크는 리처드 고 CFO를 신임 행장 겸 CEO에 선임했다고 18일 발표했다. 리처드 고 신임 행장은 USC에서 학사와 석사를 받았으며, 26년 이상의 뱅킹 경험은 물론 합병 및 자본 관리 분야 등에서 다양한 경험을 쌓은 베테랑 뱅커다.
2025-04-21
-
LA한인상공회의소(회장 정동완)가 20일에 폐막된 제23차 세계한인비즈니스대회(WKBC)에 참가해 해외 한상들과 교류의 폭을 넓혔다. 17일부터 3박 4일간 애틀랜타 개스사우스 컨벤션센터에 열렸던 세계한인비즈니스대회에 20여명의 LA한인상의 회장단과 이사들이 참여해 전 세계 40개국에서 온 3500여명의 한인 경제인들과 함께 했다.
2025-04-21
-
연임에 실패한 CBB뱅크의 제임스 홍 행장이 결국 은퇴한다. CBB뱅크는 홍 행장 대신 차기 행장으로 리처드 고 CFO를 내정했다. 리더십 공백 최소화를 위한 전략적 차원의 교체라는 분석이다. 18일 경제매체 야후파이낸스에 따르면 CBB뱅크 지주사인 CBB뱅콥은 현 제임스 홍 행장 겸 최고경영자(CEO)가 이날 부로 은퇴한다고 발표했다.
2025-04-21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정책 불확실성이 계속되는 가운데 월가 거물들이 잇따라 신속한 관세 협상을 촉구하고 나섰다. 17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세계 최대 사모펀드 운용사 블랙스톤의 조너선 그레이 최고책임운영자(COO)는 트럼프 대통령이 신속하게 협상을 타결하지 않으면 미국 경제가 경기침체 위험에 직면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2025-04-18
-
美입항수수료에 中가격경쟁력 하락 전망…K조선 반사이익 기대감
미국이 중국산 선박을 운영하는 해운사 등에 입항 수수료를 부과하기로 결정하면서 한국 조선업이 수혜를 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글로벌 해운사들이 수수료 부담을 피하기 위해 중국산 선박 비중을 줄이고 한국 조선업체에 대한 발주를 늘릴 수 있다는 분석에서다.
2025-04-18
-
금값이 또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가운데 타운내 금 한돈 짜리 돌반지 가격이 400달러를 넘어섰다. .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무역 전쟁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자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값이 사상 최고치를 다시 경신했다.
2025-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