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일 서울 중구 도시건축전시관 옥상에서 윤석열 대통령 지지자로 추정되는 남성이 분신을 시도해 병원으로 옮겨졌다. 경찰 등에 따르면 79세 남성 A씨는 이날 낮 12시께 전시관 옥상에서 유인물을 뿌리고 몸에 불을 붙였다. 전시관 관계자가 소화기로 불을 끄고 경찰과 소방 당국에 신고한 것으로 전해졌다.
2025-03-07
-
장제원 전 국민의힘 의원을 성폭행 혐의로 고소한 전직 비서 A씨가 장 전 의원으로부터 받은 돈을 돌려주려 했지만 만나지 못했다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A씨는 최근 경찰 소환 조사에서 성폭행 약 2주 뒤인 2015년 12월 초께 장 전 의원에게 2천만원이 든 봉투를 받았다며 구체적인 정황을 진술한 것으로 7일 전해졌다.
2025-03-07
-
소방은 1분, 합참은 20분 뒤 '오폭' 파악…소방보다 늦은 軍
초유의 민가 오폭 사고를 낸 공군과 군 당국이 사태 초기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해 보고가 늦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7일 국방부와 공군 등에 따르면 전날 훈련 도중 KF-16 전투기가 경기 포천 민가에 MK-82 항공 폭탄을 투하한 사고는 오전 10시 4분께 발생했다.
2025-03-07
-
尹구속취소 배경은…"의심스러울땐 피고인에 유리" 대원칙 확인
법원이 7일 윤석열 대통령의 구속 취소를 결정한 배경에는 '의심스러울 때는 피고인(피의자)의 이익으로'라는 형사사법 절차의 대원칙이자 헌법정신에 따른 기준이 자리 잡고 있다. 구속 여부를 둘러싼 논란이 제기되는 가운데 관련 법령에 명확한 규정이 없고, 대법원 판례 등 선례도 없는 상태에서, 법원은 확신이 들지 않을 때는 피고인·피의자에게 유리하게 해석한다는 형사 절차의 일관된 기준을 이번 사례에서도 엄격하게 적용했다는 의미가 있다.
2025-03-07
-
尹구속취소에 與 환영·野 당혹…"탄핵심판에 반영" "무관"
윤석열 대통령의 구속 취소에 대한 여야 반응은 극명하게 엇갈렸다. 여당은 7일 법원의 결정을 환영하면서 윤 대통령의 내란 혐의를 수사했던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예상치 못한 법원 결정에 당혹스러워하면서 강력한 유감을 표명했고 검찰에는 항고를 촉구했다.
2025-03-07
-
법원, 尹구속취소…"구속기간 지나 기소…논란 있어 취소사유"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해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구속기소 된 윤석열 대통령이 구금 51일 만에 구속을 취소해야 한다는 법원의 결정을 받았다. 구속기소된 지 40일 만이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지귀연 부장판사)는 7일 구속 상태가 부당하다고 주장하며 윤 대통령이 낸 구속 취소 청구를 받아들였다.
2025-03-07
-
세르비아 의회 의사당에서 4일 연막탄과 최루탄이 폭발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AP·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세르비아 야당 의원들이 이날 수도 베오그라드에 있는 의사당 내부에서 연막탄과 최루탄을 던져 최소 의원 3명이 다쳤고, 이 중 1명은 중태에 빠졌다.
2025-03-07
-
국민의힘 조승환 의원(부산 중·영도)은 "선거관리위원회 경력직 채용에서 5명 중 1명꼴로 친인척을 뽑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6일 밝혔다. 조 의원이 중앙선관위에서 받은 '친인척 채용 현황'에 따르면 조사 대상인 전현직 선관위 직원 3천236명 중 가족 관계 파악에 동의한 선관위 직원 339명을 조사한 결과 66명이 친인척인 것으로 나타났다.
2025-03-07
-
윤석열 대통령과 국회 측의 주장이 첨예하게 엇갈리는 또다른 쟁점은 12·3 비상계엄 당시 윤 대통령이 국회의 계엄 해제 의결을 막으려 했는지다. 구체적으로 경찰력을 통해 국회를 봉쇄해 의사당으로 의원들이 들어가는 것을 막으려 했는지, 국회 표결을 앞둔 상황에서 군에 의원들을 끌어내라고 지시했는지를 두고 양측은 극명한 의견 대립을 보였다.
2025-03-07
-
헌법재판관 8명 전원이 헌법재판소 명의의 업무용 휴대전화를 지급받아 사용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김세환 전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사무총장이 재임 기간 선관위 명의로 개통한 이른바 '세컨드폰'으로 정치인들과 연락한 사실이 최근 드러나 논란이 된 바 있다.
2025-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