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으로 무려 2. 5마일 떨어진 적군 명중 사살. 3. 8㎞ 적군 사살 종전 기록 경신. 우크라이나 저격수가 자국에서 개발한 소총으로 무려 2. 5마일(약 4㎞)이나 떨어진 거리에서 러시아 군인 2명을 사살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세계 최장거리 사살 기록을 세운 것.
2025-08-21
 - 
					
					
일본에서 한 정자 기증자가 여성과 실제로 성관계를 가져 임신을 돕고 있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18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하지메’(38)라는 가명을 쓰는 남성의 사례를 소개했다. 오사카에서 사무직으로 일하는 그는 5년 전 불임으로 고통받던 친구의 요청을 계기로 정자 기증을 시작했다고 전했다.
2025-08-21
 - 
					
					
스웨덴의 한 광산마을에서 지은 지 100년 넘은 목조 교회 건물을 통째로 옮기고 있다. AP·dpa통신에 따르면 19일(현지시간) 스웨덴 최북단 키루나에서 구경꾼 수천 명이 지켜보는 가운데 마을 명물 키루나 교회를 새 마을 부지로 옮기는 작업이 시작됐다.
2025-08-20
 - 
					
					
최근 16일간 지속된 스페인 폭염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되는 사망자 수가 1천100명을 넘는 것으로 추산된다고 AFP통신이 1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스페인 공공 보건 연구소인 '카를로스 3세 보건연구소' 분석에 따르면 지난 3∼18일 스페인에서는 폭염 때문일 가능성이 있는 초과 사망자 1천149명이 발생했다.
2025-08-20
 - 
											
					
					
러는 탐내고 우크라는 포기 못하는 돈바스 50㎞ '요새 벨트'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돈바스 지역 전체를 탐내지만 우크라이나는 절대 포기하지 못하는 진짜 이유는 50㎞에 걸쳐 양쪽을 가르는 '요새 벨트'라는 분석이 잇따른다. 영국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18일(현지시간) 푸틴 대통령의 '사냥 목록 1호'는 여전히 우크라이나 수중에 있는 도네츠크주 서부라고 보도했다.
2025-08-20
 - 
											
					
					
젤렌스키 인정 않는 푸틴, 러·우크라 정상회담 성사될까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양자 정상회담이 이뤄질지가 초미의 관심사가 된 가운데 그간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협상 상대로 인정하지 않았던 러시아가 입장을 바꿀지가 주목된다.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젤렌스키가 합법적인 우크라이나 지도자가 아니라고 러시아가 주장해온 상황에서 푸틴 대통령이 양자 회담 자리에 나오는 것은 정치적으로 부담이 되는 일이라고 19일(현지시간) 분석했다.
2025-08-20
 - 
					
					
中서 내달 K팝걸그룹·래퍼 공연 예정…한한령 완화 기대감 고조
중국 본토에서 다음 달 K팝 걸그룹과 유명 래퍼의 공연이 잇달아 열릴 전망이다. 공연이 실제로 성사되면 중국 당국의 해외 콘텐츠 개방 결정에 이어 장기간 한류 문화 진입을 가로막은 '한한령(限韓令·한류 제한령) 완화의 변곡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2025-08-20
 - 
											
					
					
사람처럼 달리고 때리고 일한다…관객 환호 속 中서 로봇운동회
"넘어진다! 넘어진다!", "대단하지? 저 로봇이 혼자 일어났어. ". 15일 오전 중국 베이징 북부의 국가스피드스케이팅홀. 사각 링 안에서 로봇 두 대가 권투 장갑을 낀 채 킥복싱 경기를 벌이고 있었다. 둔탁한 타격음이 울리는 격투 대결 옆으로는 '느리지만 치열한' 축구 경기가 펼쳐졌고, 바깥 트랙에서는 1천500m 달리기 경주가 이어졌다.
2025-08-20
 - 
					
					
"미국·유럽·우크라, '한반도식 완충지대' 조성 논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유럽 정상들이 우크라이나의 안전보장을 위해 한국식 '완충지대'를 조성하는 방안을 주요 의제로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19일(현지시간) 이탈리아 일간 라스탐파는 복수의 유럽연합(EU) 소식통을 인용해 다국적군이 국경을 보호하는 한국식 완충지대 조성 방안이 트럼프 대통령과 젤렌스키 대통령, 유럽 지도자들의 워싱턴 회의에서 다시 핵심으로 떠올랐다고 보도했다.
2025-08-20
 - 
					
					
최근 생애 마지막에 무의미한 연명의료 대신 존엄한 죽음을 택하겠다고 서약한 사람이 300만명을 넘어섰다는 보도가 있었다. 임종 과정에서 치료 효과 없이 생명만을 연장하는 연명의료를 받지 않겠다는 의사를 미리 밝혀두는 '사전연명의향서'를 작성한 사람이 전체 성인인구의 7% 가까이에 달했다는 의미다.
2025-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