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해외 국가 제공 난색 표명…접종률 2% 내외 한국 ‘백신 스와프’ 찬물

[뉴스분석]

美 3차 접종 ‘부스터샷’ 여유분 고갈 우려도

미국 방문 日 스가 총리 1억회분 확보 대조

조 바이든 대통령이 사용 하지 않는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활용법을 고민하고 있지만 지금 해외에 보내기는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따라 한국 정부가 추진 중인 미국과의 백신 스와프 협상이 쉽지 않을 것임이 예고됐다.

바이든 대통령은 21일 취임 후 100일 내 달성을 약속한 2억 회의 백신 접종이 예정보다 앞서 이날 이뤄졌다고 밝히는 연설을 한 후 퇴장하려다 기자의 질문을 받고 이같이 답했다. <관계기사 5면>

그는 "사용하지 않고 비축된 백신을 어떻게 할지에 대해 검토 중이다. 해외로 보내기에 안전한지 확인해야 한다"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또 지금은 (백신을) 해외로 보낼 수 있다는 자신이 없지만, 앞으로는 그렇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부연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중앙아메리카 등 미국이 백신 공급을 도울 수 있다고 생각하는 나라들이 있다"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이에따라 미국의 백신 공급을 기대하던 한국은 울상이다.

정의용 외교부 장관도 관훈토론회에서 "미국과 백신 스와프를 협상하고 있지만, 여유분이 없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라고 말한 바 있다.

더욱이 미국이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 효과를 유지하거나 높이기 위해 백신을 추가 접종하는 ‘부스터 샷(booster shot)’ 계획에 돌입할 계획을 밝히면서 한국의 백신 확보·접종 계획이 차질을 빚을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이 코로나 예방 효과를 더 오랫동안 강화·지속하기 위해 ‘3차 접종’까지 하겠다는 계획을 구체화할 경우 아시아, 중동 등 전 세계에 백신 확보 경쟁이 격렬해질 것이 자명하기 때문이다.
현재 접종률이 2% 내외인 한국 정부는 당초 오는 9월까지 전체 인구의 60~70%에 백신을 접종해 11월까지 집단면역을 이루겠다는 계획이었다. 하지만 아스트라제네카·얀센 백신의 부작용과 화이자·모더나 백신 공급 지연으로 실현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반해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는 방미 중 화이자 CEO와 직접 통화해 전 국민 대상 접종이 가능한 수준인 1억회분 가량의 백신 물량을 확보했다. 한국과 대비되는 모습이다.
5월 하순으로 예정된 한미 정상회담을 위한 문재인 대통령의 방미 발걸음이 더 무거워지게 됐다.

“코로나 우수 대응국이

이젠 접종지연 굼벵이“


뉴욕타임스(NYT)는 한국 등이 지난해 초 코로나19 우수 대응 국가로 꼽혔음에도 지금은 굼벵이(laggard)처럼 백신 접종이 지연되고 있다는 보도를 냈다. 상대적으로 낮은 감염률과 사망률 덕분에 코로나19 대응에 시간적 여유를 얻었지만 이를 낭비했다는 지적이다. CNN은 한술 더 떠 한국 등이 미국, 영국과 달리 긴박함이 없었으며 이 때문에 백신 제조업체와 일찍 계약을 체결하지 않았고 일부 업체하고만 계약을 진행해 백신 쟁탈전에서 뒤처졌다고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