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년간 총 205개 휴교 또는 폐교 예산 반납… 재외동포사회 2세 정체성 교육 '비상'

[뉴스인뉴스]

남가주 지역 150여개에서 현재 80개로
"정상화 쉽지않아 한국 정부 지원 절실"

지난 2년간 정부 지원금을 반납하고 문을 닫은 재외 한글학교가 코로나19 확산 이전 대비 두 배 이상 늘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외국민을 대상으로 한국어와 한국의 역사·문화 등을 가르치는 한글학교가 한 번 문을 닫으면 다시 정상화하는 게 어렵기 때문에 지속적인 운영을 위해선 지원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윤호중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9일 재외동포재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8년 이후 지난해까지 4년간 한글학교 205곳이 휴교 또는 폐교로 운영비 지원금을 반납했다. 특히 2020년(71곳)과 2021년(67곳) 문을 닫은 한글학교는 138곳으로, 2018년(33개)과 2019년(34개) 67곳의 두 배 이상이었다. 

코로나19 확산 이후로 한글학교가 문을 닫으면서 한국어 교육을 받을 기회를 잃은 학생은 지난 2년간 4,802명(2020년 3,025명, 2021년 1,777명)에 달한다. 같은 기간 반납한 예산은 71만7,550달러 수준이다.

전체 한글학교 수도 급감하고 있다. 2019년 1,690곳이었던 한글학교는 2020년 1,602곳, 2021년 1,476곳까지 줄었다. 특히 북미지역 한글학교는 2019년 877곳에서 2021년 735곳으로 급감했다.

이가운데 LA와 오렌지카운티를 포함한 남가주의 경우 150여개에서 현재 80~90개 정도로 크게 줄었다. 

한글학교는 재외동포 2세 등이 한국인으로서 정체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한국어와 한국 문화 등을 가르치는 민간기관으로 주로 현지 한인 교회 등 지역 커뮤니티에서 운영하고, 방과 후나 주말 등에 수업을 진행한다.

문을 닫는 한글학교가 늘어나는 이유는 코로나19 확산으로 대면수업이 제한되고, 나아가 수시로 봉쇄조치까지 이뤄지면서 수업 진행 자체가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온라인 수업을 진행할 경우 학생들의 참여도가 떨어지거나 지역에 따라 온라인 수업 진행조차 쉽지 않아 문을 닫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윤 의원은 "정규 교육기관이 아닌 한글학교 특성상 한 번 휴교하거나 폐교하면 다시 정상화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린다"며 "재외동포재단이 단순히 운영비만 지원하는 데 그칠 게 아니라 폐교 위기에 놓인 한글학교에 대한 컨설팅 등 맞춤형 지원을 늘릴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