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다니는 서울 한복판서 발생…대중의 불안·공포 더 커

현장에 있던 시민 다수 심리적 충격…"폭탄 테러 목격한 수준"

(서울=연합뉴스) 김잔디 송정은 기자 = "사람 많은 지하철이 좀 꺼려지죠."

매일 아침 출근길 4호선에서 '지옥철'을 겪는 박모(37) 씨는 이태원 압사 참사 이후 왠지 모르게 사람이 빽빽하게 들어찬 곳이 두려워졌다고 한다. 그는 "당분간 자동차로 출퇴근할 계획"이라고 했다.

300명 이상의 사상자를 낸 이태원 압사 참사의 트라우마(정신적 외상·trauma)가 유족과 생존자는 물론 '그날 그곳'에 있지 않은 많은 이의 마음과 일상을 잠식했다.

전문가들은 2014년 세월호 참사 때 이상의 트라우마로 자리 잡을 가능성을 우려한다.

세월호 참사 후 안산 단원고 '스쿨닥터'로 활동하며 학생들의 정신건강을 돌본 김은지 마음토닥정신건강의학과의원 원장은 3일 "이번 참사는 세월호 때보다 사건에 노출된 강도가 더 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전 국민이 그때보다 더 심각한 수준의 트라우마를 겪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육지에서 보이지 않고 접근이 제한된 바다에서 벌어진 세월호 참사와 달리 일상적으로 드나드는 익숙한 서울 시내 한복판에서 일반 시민이 대규모로 숨진 터라 대중이 받아들이는 불안과 공포의 정도가 더 크다는 것이다.

현장에서 직접 참사를 경험하고 목격한 사람이 적지 않고, 참사 현장을 담은 영상과 사진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을 통해 무분별하게 확산한 것도 문제라고 봤다.

김 원장은 "그날 거기에 있던 사람 중 많은 수가 심리적 개입이 필요한 상황일 것"이라며 "굳이 비교하자면 폭탄 테러를 목격한 것과 비슷한 수준의 트라우마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 이번 참사와 관련해 목격자들을 중심으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등을 호소하는 상담 문의가 쇄도하고 있다.

'이태원 사고 통합심리지원단'을 운영하는 심민영 국립정신건강센터 국가트라우마센터장은 "벌써 450여 건의 상담이 이뤄졌는데 주로 목격자가 많다"고 말했다.

참사 현장에 출동한 소방·경찰관은 이러한 트라우마와 더불어 더 많은 사람을 구하지 못했다는 죄책감에 시달리고 있다.

서울소방재난본부는 당시 현장에 출동한 소방관 전원을 대상으로 심리치료를 지원하고 있고 경찰청도 보라매병원과 경찰병원의 마음동행센터에서 현장 출동 경찰관들의 심리 상담을 하기로 했다.

전문가들은 참사 뒤 시간이 얼마 지나지 않은 만큼 현재 느끼는 불안과 공포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평소 생활을 유지하면서 주위에 감정을 털어놓는 게 좋다고 조언한다.

학교나 직장에 가기조차 어려울 정도의 불안이 지속한다면 전문가와의 상담 등을 통해 심리 진단을 받을 필요가 있다.

김 원장은 "어느 정도의 불안은 정상이지만 일상생활이 어려울 정도가 된다면 즉각 전문가를 찾아야 한다"며 "무엇보다 스스로 고통스럽다는 생각이 들면 일단 상담을 받는 게 좋다"고 권했다.

심 센터장은 "이렇게 큰 사고나 재난이 발생하면 너무나 충격적이고 이해가 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되레 뉴스나 영상을 계속 찾아보는 분이 있는데 멈춰야 한다"며 "우선 사안에 노출되는 것을 줄이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jandi@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