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일 최종 후보 선출 후 단일화 논의, 늦어도 11일 마무리 계획
金 '협상 속도' vs 韓 '후보 중심'…이준석·舊민주당 인사들도 변수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1일 대선 출마를 위해 사퇴하면서 범보수 중심의 '반명 빅텐트' 논의에 본격적으로 시동이 걸리게 됐다.
일단 빅텐트 논의는 오는 3일 선출되는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한 대행을 두 축으로 삼아 진행될 예정이다.
국민의힘은 후보 선출 직후 한 대행과의 단일화를 위한 로드맵을 가동할 방침이다.
지도부는 이달 7일까지 한 대행과의 단일화를 완료하겠다는 구상을 갖고 있다.
중앙선관위 대선 홍보물 인쇄 발주 마감일 전에 '단일 후보'를 확정해 단일화 효과를 극대화하겠다는 전략이다.
내부적으로는 대선 후보 등록 마감일인 11일을 '단일화 마지노선'으로 보고 있다. 후보 등록일 전에 단일화가 마무리돼야 어느 후보가 되든 '기호 2번'을 사용할 수 있고, 당 차원의 선거 지원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단일화 협상의 진전 속도는 당 최종 후보로 누가 선출되느냐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정치권에서는 김문수 후보가 당 후보가 되면 한 대행과의 단일화 논의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일찍부터 한 대행과의 단일화에 적극적인 태도를 보여온 김 후보가 협상에 임할 가능성이 높다는 측면에서다.
김 후보 측은 당 후보에 선출되는 당일 곧바로 한 권한대행에게 단일화를 제안하겠다는 입장이다.
김 후보 캠프 관계자는 이날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단일화는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는 입장"이라며 "먼저 단일화 물꼬를 트고 협상을 주도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동훈 후보가 최종 후보로 선출될 경우에는 단일화 과정에 적지 않은 진통이 예상된다.
한 후보가 '당 후보 중심'의 단일화 협상을 강하게 주장하고 있는 만큼 향후 단일화의 '룰 세팅' 등을 놓고 한 대행 측과 줄다리기가 이어질 수 있다.
한 후보 캠프 일각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에게 무죄를 선고한 공직선거법 2심 판결을 유죄 취지로 파기 환송한 대법원 판결에 따라 한 대행의 출마 명분이 사라졌다는 주장도 나온다.
한 후보 캠프 전략총괄위원장 배현진 의원은 페이스북에 "이재명 유죄취지 파기환송으로 한덕수 총리의 출마도 동시에 명분을 잃었다"며 "이재명을 막기 위해 한덕수라도 차출하자는 주장이 무색해졌다"고 적었다.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국회에서 연 기자회견에서 이같은 주장에 대해 "어쨌든 우리 당 입장에서는 법치주의와 자유민주주의를 위협하는 사람과 세력의 집권을 힘을 다해서 막을 생각"이라며 원론적 입장만 보였다.
개혁신당 이준석 대선 후보, 새로운민주당 이낙연 상임고문 등 구(舊)민주당 출신 인사들과의 연대 여부도 빅텐트 규모를 결정지을 변수다.
김·한 후보는 이준석 후보와의 단일화에 열려있는 입장이지만, 이 후보는 전날 관훈토론회에서 "'묻지마 단일화'에 응할 생각은 전혀 없다"며 여전히 선을 긋고 있다.
그럼에도 국민의힘 일각에서는 대선 레이스 막판에 돌입하면 이 후보가 다른 선택을 할 수도 있다고 기대하는 분위기가 읽힌다.
이 상임고문 등 진영을 달리하는 인사의 빅텐트 합류 과정은 순탄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당장 이 상임고문 측에서 단일화 조건 중 하나로 국민의힘에 '당명 변경'을 요구했다는 언론 보도가 나오자 김·한 후보 모두 "부적절하다"고 반발했다. 국민의힘은 당명 변경을 지도부 차원에서 검토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안채원 김치연 기자 chaewo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