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 정책, 5월부터 소비자에 영향…아마존서 팔리는 중국산 美 CPI의 두 배 상승
[뉴스초점]
가정용품,가전제품 한 달새 3%이상 올라
앞당긴 수입재고 줄자 소매업체 가격 반영
"관세 인상 충격 소매 공급망 전체에 파급"
중국에서 생산돼 미국 아마존닷컴에서 판매되는 상품의 가격을 분석한 결과 5월부터 미국의 전반적 물가 상승률보다 빠르게 가격이 오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30일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이는 관세가 미국 소비자에게 영향을 주기 시작했다는 신호로 해석됐다.
매체에 따르면 중국에서 제조돼 아마존닷컴에서 팔리는 상품 가격이 1월부터 6월 중순까지 기간중 2.6% 상승해 미국의 물가 상승률을 앞지르고 있다. 같은 기간에 서비스를 제외한 핵심 상품의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연율로는 2%, 같은 기간에는 1% 상승했다.
특히 관세가 적용된 초기인 4월까지는 기존 재고 등으로 가격 상승률이 미미한 수준이었으나 5월 이후 가격 상승폭이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빠르게 가격이 오른 품목은 학용품 및 사무용품, 프린터와 분쇄기 같은 전자 제품, 그리고 가구와 조리도구 같은 가정용품 등이다. 지난 해 미국에 4,389억 달러 규모의 상품을 수출한 중국은 이 들 품목에서 주요 공급국이다.
올해 1월부터 6월 17일까지 추적한 1,407개 품목 중 475개 품목의 가격이 올랐고, 633개 품목은 변동이 없었으며, 299개 품목의 가격이 하락했다. 이들은 4월까지는 가격 상승률이 미미한 수준이었으나 5월 이후에 크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정용품 및 가구와 전자제품들은 5월 이후 각각 3.5%와 3.1%의 중간값 상승률을 보였다.
이번 조사를 주도한 데이터위브의 공동 창립자이자 CEO인 카르티크 베타다푸라는 “계절적 변동이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시기와 비율을 보면 비용 충격이 소매 공급망 전체에 파급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마진이 적고 재고 보충 주기가 빠를 때는 관세가 낮아도 빠르게 오를 수 있다.특히 6월 들어 판매자들이 높은 관세에 적응하기 시작하면서 처음으로 전반적인 가격 인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 최대 소매업체 월마트를 포함한 여러 소비재 기업들은 관세로 인한 가격 인상에 대해 경고한 바있다. 백화점 체인 메이시스는 관세를 상쇄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가격을 인상한다고 밝혔다. 최근 아마존에서 판매를 재개한 나이키는 6월부터 다양한 제품의 가격을 올리겠다고 밝혔다.
현재 시행 중인 미국 관세에는 10%의 일반 관세와 철강 및 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50% 관세, 그리고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에 대한 25% 관세가 포함된다.
지난 6월 23일부터 철강 관세가 50%로 발효됐으며 이로 인해 향후 몇 달 간 조리 기구, 주전자, 소형 주방제품, 소형 가전 제품 및 기타 생활 필수품에 대한 가격 압박이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