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으로 가득하지만, 여전히 인간의 손길이 필요하다"
[뉴스분석]
WSJ, 조지아 사바나 현대차 전기차 공장 조명
"첨단 제조업, 사람과 기계 균형 보여주는 사례"
최근 눈앞에 다가온 AI시대에 대한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고 있는 가운데 조지아주 사바나 인근에 문을 연 현대자동차 전기차 공장 메타플랜트가 월스트리트저널(WSJ)의 집중 조명을 받았다.
"미국의 최신 자동차 공장은 로봇으로 가득하지만 여전히 인간의 손길이 필요하다"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매체는 "750대의 로봇과 1450명의 인력이 함께 일하는 이 공장은 자동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지만, 여전히 인간 노동이 핵심"이라고 평가했다.
WSJ는 25일 특집기사를 통해 “첨단 제조업 현장이 사람과 기계 간 균형을 어떻게 보여주는지 잘 드러나는 사례”라며 미국 자동차 업계 평균 로봇 대 인간 비율이 7대 1 수준인 반면, 현대차 공장은 2대 1에 그쳐 사람의 비중이 월등히 높다고 보도했다.
신문에 따르면 공장 곳곳에서는 로봇이 대신할 수 없는 영역이 남아 있었다. 금속의 날카로운 부분을 찾아 다듬고, 섬세하게 패브릭 도어 패널을 고정하거나 전기 커넥터를 체결하는 작업은 여전히 인간의 손길에 의존한다. 좁은 공간에 들어가 좌석을 고정하거나 충격 흡수기를 부착하는 일도 마찬가지다.
호세 무뇨스 현대차 글로벌 최고운영책임자(COO)는 “로봇은 위험하거나 반복적이고 육체적으로 힘든 작업을 맡는다”며 “사람은 문제 해결과 품질 관리, 장인 정신을 불어넣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는 인간의 개입을 줄이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잠재력을 극대화하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대차는 조지아주로부터 20억 달러의 인센티브 패키지를 받고 2031년까지 8500명을 고용하기로 약속했다. 초임 시급도 23.66달러로, 비슷한 업종보다 높은 수준이다.
하지만 일부 신입 직원들은 “공장 내 로봇의 보편화가 장기적으로 일자리 안정성에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우려를 내놓고 있다고 WSJ는 전했다. 실제로 현대차는 앞으로 보스턴 다이내믹스가 개발한 로봇개 ‘스팟’과 휴머노이드 로봇 ‘아틀라스’를 현장에 투입해 자동화를 확대할 계획이다.
이에대해 전문가들은 로봇이 인간을 완전히 대체하는 시대가 당분간 오기 어렵다고 본다. 요르겐 페데르센 ‘첨단제조 로봇 연구소(ARM)’ CEO는 “로봇은 직물이나 유연한 소재를 다루는 데 여전히 한계가 있다”며 “복잡한 작업에는 기술적 돌파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