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총영사관인데 마약 범죄에 연루됐습니다"
미주지역 올 상반기 254건, 3배 증가
미국, 작년 8건서 올 상반기 63건 ↑
마약 사건 연루 공관 직원 사칭 수법
LA총영사관 "범죄사실 전화통보 없다"

재외국민을 대상으로 한 보이스피싱 피해가 미국과 캐나다 등 미주 지역에서 특히 폭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 여파가 커지자 한국 외교부는 지난해 2월 1일부터 영사민원시스템 사건사고 범죄 유형에 보이스피싱을 추가해 통계를 집계하면서 대책 마련에 골몰하고 있다. 
13일 한국 외교부가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미국을 비롯해 해외에서  보이스피싱 범죄 피해는 지난해 94건에서 올해 상반기 254건으로 3배 가까이 피해 건수가 늘었다.
이 가운데 미주 지역의 피해가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7건에서 올해 상반기 145건으로 급증했다. LA지역을 포함한 미국은 지난해 8건에서 올해 상반기 63건으로, 캐나다는 5건에서 올해 상반기 79건으로 각각 집계됐다.
주요 범죄 사례를 보면 대사관 직원을 사칭하거나 마약 범죄에 연루됐다고 속이는 수법이 많았다.
일례로 지난 2월 12일 주미국대사관 직원을 사칭한 사람이 전화해 피해자가 마약 범죄에 연루됐다고 하면서 대검찰청 및 금융감독원을 접촉하도록 안내했으며, 이에 피해자는 가해자가 보낸 링크에 접속, 개인 정보를 공유하도록 유도했다.
올해 7월 28일에는 호주에 체류 중인 한국 국민에 주호주대사관 전화번호로 표시된 전화를 걸어 마약 사건에 연루됐으니 특정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하라고 꾀어냈다.
한국 정부는 재외국민 대상의 보이스피싱 범죄 심각성을 인지하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 당정 회의를 통해 보이스피싱 대책 마련을 위해 최근 범정부 통합대응단을 설치하고 전담 수사 체계 강화 작업에 착수했다.
특히 미주 지역에서 보이스피싱 범죄가 기승을 부리자 LA 총영사관도 재외국민들에게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고 나섰다. LA총영사관 측은 "전화로 대사관 또는 영사관 직원을 사칭해 공관 출두를 요구하거나 개인정보 및 금융정보를 탈취하는 피해 사례가 늘고 있다"며 "범죄 연루 사실을 전화로 통보하는 일은 절대로 없기 때문에 이럴 경우 보이스피싱을 의심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보이스피싱 피해 사례가 발생했다면 연방수사국(FBI)의 인터넷 범죄 신고 센터(Internet Crime Complaint Center)나 연방거래위원회(FTC)에 피해 사례를 신고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