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뉴·스]

한국서'해외 입양인과의 대화'행사…"우린 한국인도 외국인도 아닌 '입양인'

"좋은 부모 만나긴'로또 당첨'과 비슷
정체성 찾기 위해 평생 떠돌아다녀야
입양 청소년 자살 시도율 4배나 높아"

"많은 사람이 해외 입양은 '해피엔딩'일 거라고 생각하지만 실상은 다릅니다. 입양인은 평생 정체성을 찾아 떠도는 사람이에요."

지난 28일 시민모임 해외입양인네트워크는 아름다운재단 지원으로 서울에서 '해외 입양인과의 대화'행사를 열었다. 해외 입양인들이 모여 직접 아픔을 털어놓고 국내 인식 개선과 정책 마련 등을 요청하는 자리였다.

▣입양 보낸후 국가 나몰라라

서울신문에 따르면 이날 행사에 참석한 입양인들은 입을 모아 "정부 관련 기관에서는 입양을 보내기만 하고 그 뒤는 신경 쓰지 않는다"면서 "한국인도 외국인도 아닌 우리 같은 사람이 존재한다는 걸 알아 달라"고 말했다.

네 살 때 호주로 입양된 하나 리 크리스프(35·한국명 이하나)는 "해외 입양은 '로또'당첨과 비슷하다. 나는 입양 뒤 좋은 가정에서 사랑받았지만, 그렇지 않은 내 친구는 결국 자살했다"면서 "어떤 가정에 가느냐에 따라 친구의 얘기가 내 얘기가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백인 사회에서 혼자 아시아인으로 살면서 큰 소외감을 느꼈고, 내가 다른 사람보다 못생겼다는 잘못된 인식도 가졌다"면서 "양친이 아무리 잘해 줘도 그들은 백인 사회에서 인종차별을 겪지 않기 때문에 내 고충을 이해하지 못했다"고 털어놨다.

▣피부색 혼란, 상처로 남아

생후 두 달 때 네덜란드로 입양된 창 리 김(41·한국명 김창근)은 "입양인은 보통 백인 중산층 가정으로 보내지기 때문에 한국보다 좋은 환경에서 자랄 것 같지만 결코 그렇지 않다"고 강조했다. 양부모를 '패어런츠'(Parents·부모)가 아닌 '바이어'(Buyer·구매자)라고 표현할 정도로 나쁜 기억을 갖고 있었다. 그는 "어릴 때부터 가정에서 지속적인 욕설과 폭력, 성적 학대에 시달렸고, 학교에서도 심한 인종차별을 겪었다"면서 "'구매자'는 윈도쇼핑처럼 전 세계 아이들을 골라서 입양하는데, 백인 사회에서 그들은 소수자로서 씻을 수 없는 상처를 입는다"고 돌이켰다.

▣해외 입양아 20만~24만

단체에 따르면 6·25전쟁 직후인 1950년대부터 한국에서 해외로 보내진 아이들은 20만~24만명으로 추산된다. 하나 리 크리스프는 "2013년 미국의 한 연구에 따르면 입양 청소년은 일반 청소년에 비해 자살 시도율이 4배나 높다"면서 "해외 입양인은 현지 부적응, 고국에 대한 그리움, 친부모에 대한 궁금증 때문에 한국으로 온 뒤에도 언어와 문화 차이 때문에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고 말했다.

입양인 처우 개선을 위해 활동하며 이번 행사를 주최한 시모나 은미(36·한국명 이은미)는 "한국에서 지속적으로 제도 변화를 요구할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하다"면서 "1회성으로 열리는 행사 대신 입양인이 실제 한국에서 생활하는 데 필요한 언어 교육, 주거 지원 등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