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나 60달러→0.01센트로…국내 투자자 최소 28만명

(서울=연합뉴스) 구정모 차병섭 김유아 기자 = 세계 가상화폐 시장을 뒤흔든 국산 가상화폐 루나·테라USD(UST)의 폭락 사태가 1주일을 넘긴 가운데 여진이 이어지고 있다.

17일 가상화폐 업계 등에 따르면 이번 사태로 루나와 UST에 투자한 국내외 투자자 재산 48조원 이상이 불과 1주일 만에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루나·UST가 사실상 회생 불능 상태에 빠진 가운데 국내에서만 28만명 이상으로 추산되는 투자자들의 막대한 피해가 우려되지만, 구체적인 피해 규모부터 파악되지 않은 상태다.

◇ 루나·UST, '-99.99%' 폭락…시가총액 52조→3조

루나와 UST는 애플 등에서 일한 엔지니어인 권도형 최고경영자(CEO)와 소셜커머스 티몬 창업자인 신현성 씨가 2018년 설립한 블록체인 기업 '테라폼 랩스'가 발행하는 가상화폐다.

회사는 싱가포르에 있지만, 한국인들이 운영하는 기업이 발행한 코인이라는 점에서 국산 가상화폐인 이른바 '김치 코인'으로 분류됐다.

UST는 1개당 가치가 1달러에 유지되도록 설계된 '스테이블 코인'이다.

달러 등 실제 자산을 담보로 가치를 유지하는 테더 등 다른 스테이블 코인과 달리 UST는 자매 코인 루나를 담보로 루나 발행량을 조절해 가치를 유지하는 방식으로 설계됐다.

UST는 일반 가상화폐보다 가치가 안정적이라는 장점을 내세워 세계적으로 급성장해왔다.

가상화폐 정보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UST 시가총액은 지난해 11월부터 급격히 증가해 폭락 사태가 펼쳐지기 직전인 지난 9일 기준 186억달러에 이르렀다. 루나(시총 220억달러)와 합하면 약 406억달러(약 51조7천억원) 규모의 거대한 '생태계'가 됐다.

하지만 지난 10일께 UST 가격이 기준인 1달러 밑으로 떨어지면서 세계적인 투매 행진이 시작됐다.

UST가 급락하자 UST 가치를 뒷받침하는 루나가 떨어지고 이는 다시 UST의 가격 하락을 촉발하는 악순환이 벌어졌다.

그 결과 UST 가격은 이날 현재 10센트대까지 떨어졌다.

지난달 한때 119달러까지 치솟았던 루나의 경우 UST 가격 안정을 위해 발행량이 급증하면서 폭락 직전 60달러대에서 이날 현재 0.01센트 수준으로 추락했다. UST와 루나 모두 99.99% 이상 폭락, 사실상 휴짓조각이 된 상태다.

이에 따라 이날 기준 UST(약 14억달러)와 루나(약 12억달러)를 합한 시가총액은 약 26억달러(약 3조3천억원)로 쪼그라들었다. 1주일만에 약 380억달러(약 48조4천억원)가 증발한 셈이다.

루나와 UST의 폭락은 다른 스테이블 코인은 물론 전체 가상화폐 시장을 뒤흔들면서 '가상화폐 시장의 리먼브러더스 사태'로 번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세계적으로 확산했다.

대표적 가상화폐인 비트코인 가격은 루나·UST 폭락 이후 한때 16개월만에 최저인 2만5천달러대까지 떨어졌다가 현재는 3만달러 안팎으로 회복했다.

전체 가상화폐 시총은 이번 사태 직전인 지난 9일 1조5천억달러 안팎에서 이날 현재 1조3천억달러 수준으로 2천억달러(약 255조원) 가량이 사라졌다.

권 CEO는 최근 트위터를 통해 "내 발명품(루나·UST)이 여러분 모두에게 고통을 줘 비통하다"면서 실패를 인정했다.

테라폼 랩스 측은 제2의 테라 블록체인을 만들겠다는 등 테라 생태계 부활 계획도 내놨지만, 가상화폐 전문가들은 회생 가능성이 높지 않다는 평가를 내놓고 있다.

◇ '알고리즘 스테이블 코인'은 사상누각?…불신 싹트자 '와르르'

이번 사태로 우선 UST와 같은 알고리즘 기반 스테이블 코인의 구조적 취약성이 드러났다.

대표적인 스테이블 코인인 테더는 미 달러화로 그 가치가 담보되지만, 알고리즘 기반 스테이블 코인의 가치는 실제 자산에 의해 담보되지 않는다.

대신 말 그대로 알고리즘을 통해 1UST의 가격이 1달러에 고정(페깅)되도록 설계됐다. 이는 크게 '테라 프로토콜'과 '앵커 프로토콜'을 중심으로 운영된다.

테라 프로토콜은 1UST를 1달러 상당의 루나로 교환해주는 시스템이다. 이를 통해 1UST의 가격이 일시적으로 1달러를 벗어나더라도 다시 1달러로 되돌아가도록 고안됐다.

예컨대 1UST의 가격이 0.8달러로 떨어졌다고 하면 UST 보유자는 1UST를 1달러 상당의 루나로 교환하면 앉아서 0.2달러를 번다. 대신 이 1UST가 소각돼 시장에서 사라져 UST 유통량이 줄어 UST의 가격이 오르게 된다.

1UST의 가격이 1.2달러가 되면 반대 현상이 발생한다. 이번엔 루나 보유자가 1달러 상당의 루나를 1UST로 교환하면 0.2달러 이득을 본다. 이때 루나는 소각되고 UST의 공급이 늘어나므로 UST의 가격은 내려간다.

결국 UST의 가격이 1달러를 벗어나면 차익거래의 여지가 생겨 1UST 가격이 1달러로 자동 복원되는 구조인 셈이다.

앵커 프로토콜은 UST를 사서 맡기면 연 20% 수익률을 제공하는 디파이(탈중앙화 금융)이다. UST 생태계에 필요한 자금을 끌어들이는 역할을 했다.

UST 생태계는 한동안 이 생태계가 계속 유지될 것이란 신뢰를 바탕으로 잘 굴러갔다.

하지만 그 믿음이 이번에 무너졌다. UST 대량 매도가 일어나 UST 가격이 1달러 밑으로 떨어진 것이다.

이론적으로는 이에 따라 투자자들이 차익 거래를 하려고 UST를 루나로 교환해 UST의 가격이 회복해야 했다.

하지만, 실제로는 불안을 느낀 투자자들이 앵커 프로토콜에 예치했던 UST를 찾아 투매를 시작했다.

UST 가격이 내리면 내릴수록 차익 거래를 할 유인이 더 커졌다. 즉, 투자자들이 몰려들어 UST를 1달러 상당의 루나로 바꿨고 이로 인해 루나 가격은 계속 급락했다.

이는 재차 UST 생태계에 대한 불신을 더 키워 UST 투매를 부추기는 악순환, 이른바 '죽음의 소용돌이'(death spiral) 현상이 벌어졌다.

UST와 루나 폭락 사태 후 앵커 프로토콜의 연 20% 수익률에 대한 비판도 제기됐다. 이는 월가의 유명 헤지펀드들도 선뜻 보장하기 어려운 수익률이다.

가상화폐 투자 헤지펀드 '갈루아 캐피털'을 설립, 운용하는 케빈 저우는 테라폼 랩스가 보유한 루나를 할인된 가격에 팔아 약속한 수익률을 제공하는 데 썼다고 진단했다.

그는 "수익이 어디서 나오는지 알 수가 없을 때는 사실상 미래의 '호구'(bag holder)로부터 나온다고 할 수 있다"며 UST 생태계가 사실상 '폰지 사기'임을 시사했다.

◇ 국내 거래소 루나 보유자 28만명…당국 현황 파악 중

금융당국에 따르면 업비트·빗썸·코인원·코빗·고팍스 등 국내 5대 가상화폐 거래소에서 루나를 보유한 투자자는 지난 15일 기준 약 28만명, 보유 수량은 700억개로 추산된다.

국내 투자자 다수가 이용하는 바이낸스, FTX 등 해외 대형 거래소에서의 루나 보유자 수까지 모두 합치면 이보다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 폭락 사태가 발생한 직후인 지난 주말에는 루나의 반등을 노리는 저가 매수세도 유입되며 국내 주요 거래소에서 높은 거래량을 기록하고 있다.

특히 주요 거래소들이 이번 사태로 루나를 상장 폐지한다고 발표하자 '상폐빔'(상장폐지 앞두고 가격 급등)을 노린 이들이 단타 거래에 뛰어들며 루나 보유자 수가 늘어나는 모습이다.

국내 거래소 중에서는 고팍스가 지난 16일 가장 먼저 루나와 테라KRT(KRT)를 상장 폐지했다. 업비트는 오는 20일, 빗썸은 27일 거래지원을 종료한다. 코인원과 코빗은 지난 10∼11일 루나 입출금을 중단했으며, 거래지원 여부를 논의 중이다.

일단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지난 12∼13일 국내 거래소들을 중심으로 루나와 UST 보유자 수, 100만원 이상 고액 투자자 수, 종가 등 자료를 요청해 피해 현황을 파악하고 있다.

국내 거래소들의 대응책과 거래소가 판단하는 하락 원인에 대한 답변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국은 테라폼 랩스 등을 조사하거나 감독할 법적 권한이 없기 때문에 이번에 파악한 현황 등을 반영해 투자자 보호 관점에서 디지털자산기본법 제정을 논의한다는 방침이다.

정은보 금감원장도 이날 임원회의에서 루나 사태와 관련한 피해 상황과 발생원인 등을 파악하라고 주문하면서 "해외 주요 감독당국과도 가상자산 규율체계와 관련한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해달라"고 당부하기도 했다.

또 이번 사태에 대한 거래소별 정책과 대응 시기가 제각각이어서 투자자 간 혼란이 빚어졌다는 점에 대해서도 들여다볼 것으로 보인다.

앞서 업비트는 국내 다른 거래소들보다 뒤늦은 지난 13일에야 루나 입금을 중단해, 투자자를 보호하기보다는 끌어모으려 했다는 비판을 받는 상황이다.

jhpar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