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중소 지도자, 1954년·1959년 中건국절 열병식서 만나
북한 최고지도자 中열병식 참석, 1959년 이후 처음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내달 3일 중국 '전승절 80주년' 열병식에 참석키로 하면서 북한 지도자로는 66년 만에 처음으로 '톈안먼 망루외교'에 나서게 된다.
북한과 중국, 러시아(옛 소련 포함) 지도자가 한자리에 모이는 것도 66년 만에 처음이다.
29일 블룸버그통신 보도와 인민일보·환구시보 등 중국 관영매체의 과거 보도 내용에 따르면 북한 최고지도자가 가장 최근 중국에서 열린 열병식에 참석한 것은 1959년이었다.
김일성 주석은 1959년 10월 1일 신중국 건국 10주년을 기념해 열린 열병식을 톈안먼 망루에서 지켜봤다. 그 자리에는 마오쩌둥 중국 국가주석과 니키타 흐루쇼프 당시 소련 공산당 서기장도 있었다.
당시 보도사진과 영상을 보면 마오쩌둥 주석이 망루 중간에 섰고 바로 옆에 호찌민 초대 베트남 국가주석, 저우언라이 당시 국무원 총리 옆에 김일성 주석이 자리했다. 마오 주석의 다른 쪽 옆으로는 흐루쇼프 서기장의 모습이 보인다.
1954년 10월1일에 열린 신중국 건국 5주년 기념 열병식에도 김 주석과 흐루쇼프 서기장이 초청됐다. 이때는 김 주석이 마오 주석 바로 옆에 서서 열병식을 참관했다.
환구시보는 2015년 전승절(9월3일) 열병식과 관련한 그해 1월 보도에서 외교기록을 인용해 "신중국 성립 5주년 기념일인 1954년 10월 1일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제1서기 흐루쇼프가 열병식에 초청받아 톈안먼 관람대에서 참관했으며 북한 최고지도자 김일성 등 다른 국가 지도자도 있었다. 1959년 10주년 기념식 때도 흐루쇼프, 호찌민, 김일성 등 여러 외국 정상들이 열병식에 초청받았다"고 언급했다.
김일성 주석은 생전에 10여차례 중국을 방문했으나 1959년 이후로는 열병식에 참석했다는 기록은 없다.
대약진운동과 문화대혁명 등으로 1960년부터 24년간 중국에서 열병식이 열리지 않았기 때문이다. 문화대혁명 초기 홍위병들이 김일성을 비난하고 '북한 수정주의'를 공격하면서 1960년대 북중관계도 소원해졌다.
이후 김일성 주석은 1975년 중국을 공식 방문해 북중 긴장 완화를 알렸고 1994년 7월 사망하기 전까지 여러 차례 더 중국을 찾았지만 열병식에는 참석하지 않았다.
그 뒤를 이은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2000년 첫 방중을 시작으로 집권 기간 모두 8차례 중국을 방문했지만 아버지 김일성과 달리 중국 열병식 등 다자 외교무대에 선 적이 없다.
김정일은 20대 때 인도네시아 반둥회의 10주년 기념행사(1965) 등에 아버지를 따라가기도 했으나 집권 후로 다자행사를 기피했다.
(서울=연합뉴스) 권수현 기자 inishmor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