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2분기 성장률 상향…관세 정책 영향 
무역 정책 적응, 경제 완만한 속도 확대

 미국의 2분기 국내총생산(GDP)이 3.3% 증가(직전분기 대비 연율)한 것으로 28일 잠정 집계됐다.
이는 지난달 발표한 성장률 속보치(3.0%)보다 0.3%포인트 상향 조정된 것이다.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3.1%)도 웃돌았다. 1분기 성장률 잠정치(-0.5%)에 견줘 큰 폭으로 반등한 수치다.
성장률의 반등에는 수입 감소와 개인소비 증가가 영향을 줬으며, 투자 감소가 일부 상쇄 효과를 가져왔다고 미 상무부는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1분기와 2분기 성장률 오르내림에 적지 않은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1분기에는 관세 관련 불확실성에 기업들이 재고 확보를 위해 수입을 크게 늘리면서 역성장으로 이어진 반면, 2분기에는 일시적인 재고 확보 요인이 줄면서 수입이 감소해 성장률 급반등에 영향을 준 셈이다.
블룸버그 통신은 “소비자와 기업이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 정책에 적응함에 따라 경제가 완만한 속도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경제 전문가들은 관세 부과로 경제 활동이 둔화하면서 하반기 경제 성장이 부진할 것으로 예상한다. 이들은 미국의 연간 경제 성장률이 지난해 2.8%에서 둔화한 1.5%에 그칠 것으로 전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