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아발 대규모 체포 사태에 LA 등 미국 진출 한국 기업 주재원 등 불안감 긴장 고조

[뉴스인뉴스]

"언제든 당할 수 있다" 우려 전전긍긍
일부 직원 서둘러 귀국, 숙소 대기도

조지아주에서 한국인 300여명이 구금되는 초유의 사태가 빚어지면서 LA 한인사회에 비자 포비아(공포)가 급속도로 확산하고 있다. LA에 진출해 있는 한국 기업과 직원들은 자칫 자신들도 언제든 쫓겨 나거나 구금될 수 있다는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 연방 대법원이 LA 지역에서 시행 중이던 이민 단속 제한 명령을 공식 철회하는 판결을 내놓자 영주권이나 시민권을 가진 한인들도 마구잡이식 불법 체류자 단속의 희생양이 될 수 있는 우려와 함께 "이젠 시민권이나 영주권을 가지고 다녀야 할 판"이라며 불만도 제기하고 있다. 
LA에 진출해 있는 한국 기업들은 지난 4일 조지아주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공장 건설 현장에서 이뤄진 한국인 300여명의 체포 사태 이후 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 내부 인력의 이민 신분 확인 등과 같은 내부 단속에 나서고 있다. 본사에서 나온 출장자 중 B1비자나 단순 관광 목적의 전자여행허가(ESTA)만 받은 직원의 경우 미국 출장 업무를 전면 중단하고 즉시 귀국이나 숙소 대기하도록 하면서 본사의 지침을 기다리는 기업들도 있다. 
LA에서 수년간 주재원으로 일해 온 김모 씨는 "올해 들어 비자 문제로 직원이나 인부를 고용하기가 어려워졌다"며 "한국에 있는 직원들이 LA에 단기 출장을 올 때에도 지금은 B1, B2비자나 일부는 ESTA를 받아 오는 경우도 있어 조지아 사태로 우리도 단속 대상이 될 수 있다는 불안감이 커졌다"고 설명했다. 
LA에서 7년 넘게 한국 기업에서 근무하고 있는 최모 씨는 "신분이 보장된 대기업 직원들도조차 비자 문제로 구금될 수 있다는 게 충격"이라며 "주재원(E2) 비자가 있지만 불안감이 가시지 않고 있어 이참에 아내와 함께 영주권 신청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국 지상사들도 대응책 마련을 위해 부산하게 움직이고 있다. 한국 지상사들이 주축인 캘리포니아한국기업협회(KITA)는 이민법 관련 변호사를 중심으로 비자 사태에 따른 대응 가이드를 만들는 작업에 착수했다. KITA 관계자는 "대응 가이드가 완성되는 대로 온라인 화상회의를 통해 회원사들과 공유할 예정"이라며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 LA총영사관과 긴급 연락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회원사들의 연락처를 공유한 상태"라고 밝혔다.
한인들과 소상공인들도 불안하기는 마찬가지다. 특히 8일 연방 대법원이 이민세관단속국(ICE) 요원들이 인종, 언어, 직업, 위치만을 근거로 이민자 단속에 나서는 것을 금지했던 단속 제한 명령을 위헌으로 판단하면서 사실상 무차별 이민자 단속이 가능해져 불안감이 더욱 증폭되고 있다.
시민권자인인 한인 이모 씨는 "만약이지만 불법 체류자로 오인을 받아 ICE에 체포라도 되면 영어가 서툴러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며 "아예 시민권증서를 복사해 지니고 다녀야 할 것 같다"고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