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앤스로픽·코히어 등 확대
"기업 현장서 맞춤형 제품 구축 지원"
인공지능(AI) 도입에 따라 기술기업을 중심으로 감원 칼바람이 부는 와중에 기업들이 AI를 채택하도록 돕는 신규 일자리는 뜨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신문은 생성형 AI 기업인 앤스로픽과 오픈AI, 코히어가 새 직종인 일명 '전방 배치 엔지니어'(forward-deployed engineer·FDE)들을 대거 채용하고 있다고 전했다.
전방 배치 엔지니어는 코딩을 할 줄 아는 소프트웨어 개발자이면서 고객과의 소통 능력도 지닌, 드문 유형의 인재다.
생성형 AI의 고객사에 현장 배치돼 맞춤화한 AI를 구축하도록 지원함으로써 매출을 더 늘리려는 움직임의 일환이라고 FT는 설명했다.
오픈AI의 경우 올해 초 FDE팀을 신설했는데 인원을 연내 약 50명까지 확대할 계획이라고 FDE팀 유럽·중동 책임자 아르노 푸리니에는 말했다.
앤스로픽 역시 고객 수요를 맞추기 위해 FDE와 제품 엔지니어를 포괄하는 '적용 AI팀'을 올해 중 5배로 늘릴 계획이다.
고객 응대가 역할인 이 일자리에 대한 구인 공고는 올해 폭발적으로 늘었다. 구인 플랫폼 '인디드'에 따르면 1월에서 9월 사이 FDE 구인 공고는 8배 이상으로 증가했다.
이는 제조업체에서 헬스케어에 이르기까지 산업계 전반에서 AI 도구를 도입하려는 관심은 커지고 있지만, 어떻게 이 기술을 활용할지, 또 투자를 통해 어떻게 수익을 창출할지 잘 모르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고 FT는 짚었다.
앤스로픽의 적용 AI팀장 캣 드 종은 "'포춘 500' 기업에 속하는 은행과 AI 내재형 제품을 만드는 스타트업은 완전히 다른 수요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AI 방위·첩보 업체 팔란티어의 영국 AI 총괄 닉 프레티존은 이런 접근법을 '내재적 제품 발견법'이라고 명명하며 "고객에게 제시했을 때 '이건 게임체인저다'라고 할 뭔가를 만들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팔란티어는 특히 이런 직무가 약 20년 전 자신들이 개척한 영역이라고 주장한다. 해외 영토에 군인을 전진 배치하는 군대에서 차용한 개념으로 자사 전체 인력의 약 절반이 FDE라는 것이다.
팔란티어는 실제 고객사인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 내 군사기지, 미국 중서부의 공장, 정유공장 등에 FDE를 파견해왔다.
프레티존은 "(전방 배치 엔지니어는) 유일하게 가치 있는 소프트웨어는, 얼마나 코드가 정교한지, 그 (코딩) 언어가 얼마나 아름다운지가 아니란 걸 안다"며 "최종 고객에게 의미가 있을 때만 소프트웨어는 가치가 있다"고 말했다.
AI 스타트업들은 팔란티어의 전략을 재현하기를 기대하고 있다. 코히어의 에이던 고메즈 최고경영자(CEO)는 고객사와의 계약 초기에 엔지니어를 파견하는 게 장기적이고 견고한 관계를 구축하도록 돕는다고 말했다.
오픈AI는 FDE 역할에 대한 수요가 이미 예상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오픈AI는 이런 접근법을 통해 농업용 중장비 제조사인 존디어와 함께 더 정교한 농업용 도구를 개발했고 결과적으로 농약 살포량을 60∼70% 줄였다.
이 회사의 푸르니에는 "우리는 다른 산업에 속한 고객사들이 필요로 하는 것을 배우고 함께 실험하고 혁신한다"며 "그 통찰은 오픈AI가 연구와 제품을 진보시키도록 도와준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정성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