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 지지율 하락에도…"위대한 성과 이뤄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율이 계속 하락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본인은 "미국이 세계서 가장 존경받는 나라가 됐다"며 자화자찬을 서슴치않고 있다.  . 트럼프 대통령의 집권 2기 행정부 출범이 20일 6개월을 맞은가운데  미국 내에서 그의 지지율이 계속 하락세에 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 불륜 생중계 된 CEO, 쫓겨났다

    유명 록밴드 콜드플레이의 콘서트에서 ‘불륜 행각’을 들켜 세계적으로 망신을 당한 IT 기업 최고경영자(CEO)가 결국 사직했다. 19일 CNN에 따르면 IT 기업 아스트로노머 측은 이날 성명을 통해 앤디 바이런 CEO가 사직서를 제출했으며, 이사회가 이를 받아들였다고 밝혔다.

  • 산청 집중호우 여파

    (산청=연합뉴스) 김동민 기자 = 21일 오전 경남 산청군 신안면 일대 딸기 재배 비닐하우스가 최근 내린 폭우로 크게 파손돼 있다. 2025. 7. 21.

  • WSJ "미국 경제 활력 되찾고 있다…소비자들 다시 지갑 열어"

    미국 경제가 활력을 되찾고 있다고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0일(현지시간) 전했다. 지난 봄 관세 충격에서 벗어나 소비자들이 다시 지갑을 열고 있다는 것이다. 지난 4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를 상대로 상호관세 부과를 발표하자 미국 경제가 스태그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급등)에 빠질 것이라는 우려가 확산했다.

  • 영주권 분실한 칠레 출신 82세 이민자 과테말라로 추방

    미국 펜실베이니아주에 살던 칠레 출신 80대 노인이 분실한 영주권을 재발급받기 위해 이민국을 찾았다가 난데없이 연고가 없는 과테말라로 추방됐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이 2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가족 등에 따르면 펜실베이니아주 앨런타운에 거주하던 루이스 레온(82)은 잃어버린 영주권을 재발급받기 위해 지난달 20일 예약을 한 뒤 아내와 함께 이민국을 찾았다.

  • 유전 데이터로 아기 선별해 낳는다?…美 스타트업 '슈퍼베이비' 논란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한 스타트업이 제공하는 배아 유전체 검사 서비스가 '슈퍼베이비' 논란을 낳고 있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17일 보도했다. 난임 스타트업 '오키드헬스'는 배아를 대상으로 향후 발병 소지가 있는 수천 가지 질병을 검사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 '마가' 분열에 트럼프-머독 송사까지…'엡스타인 의혹' 일파만파

    죽은 제프리 엡스타인이 '살아있는 세계 최대 권력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아성'에 미세한 균열을 일으키고 있다. 미성년자 성매매 혐의로 체포돼 2019년 수감 도중 스스로 생을 마감한 억만장자 헤지펀드 매니저 출신 엡스타인을 둘러싼 의혹으로 인해 트럼프 대통령의 집권 2기를 굳건히 뒷받침하고 있는 '트럼프 진영'이 분열하는 양상이 계속되고 있다.

  • 美 콜드플레이 콘서트서 '불륜' 들킨 CEO, 사흘 만에 사직

    록밴드 콜드플레이의 공연장에서 '불륜 행각'을 들킨 미국 IT 기업 최고경영자(CEO)가 결국 사직했다고 미 경제매체 CNBC와 CNN 방송 등이 19일(현지시간) 전했다. 구설에 오른 기업 아스트로노머 측은 이날 성명을 통해 앤디 바이런 CEO가 사직서를 제출했으며, 이사회가 이를 받아들였다고 밝혔다.

  • 텍사스 홍수 참사 3주차 아직 3명 실종…수색 작업 계속

    미국 텍사스주 중부 내륙에서 기록적인 홍수로 대규모 인명 피해가 발생한지 3주차에 접어든 가운데 100명이 넘었던 실종자 숫자도 빠르게 줄어들었으나 아직 실종자 3명은 가족의 품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있다. 텍사스주 커 카운티 커빌 시 행정담당관인 달튼 라이스는 19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실종자 숫자가 100명 가까이 줄었고 아직 3명만을 찾지 못했다고 말했다고 AP통신이 보도했다.

  • "잠자지도 늙지도 않는 아이돌…" WSJ '케데헌' 돌풍 조명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 돌풍 속에서 가상의 아이돌이 인간 아이돌의 인기를 넘어서는 시대를 열었다고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0일(현지시간) 진단했다. WSJ은 "K팝에서 가장 큰 이름은 BTS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