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속 하루만에 '관저이전 특혜 의혹' 수사 본격화…전방위 압수수색
통일교 입당 의혹 규명차 국힘 당원명부 확보 시도…기존 수사도 계속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을 파헤치는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김 여사 구속 하루만인 13일 관저이전 특혜 의혹 수사를 본격화하는 등 광폭 행보를 보였다.
김 여사 신병을 확보하자마자 구속영장에 적시된 이른바 '3대 의혹' 외 다른 의혹으로 범위를 확대하며 수사 속도를 한층 높이는 모양새다.
그간 물적 증거·진술이 축적된 일부 사건에 집중했던 특검팀도 김 여사 구속을 계기로 나머지 사안에 본격 수사력을 쏟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 관저이전 특혜 의혹 전방위 압수수색…감사원까지
특검팀은 이날 오전부터 관저 이전 과정에서 특혜를 누렸다는 의혹을 받는 주요 업체·기관과 관련자의 주거지를 동시다발로 압수수색했다.
관저 이전 특혜 의혹은 윤석열 전 대통령 취임 후 대통령실과 관저 이전·증축 과정에서 무자격 업체가 공사에 참여하는 등 실정법 위반이 있었다는 게 뼈대다.
의혹 '몸통'으로 지목된 인테리어업체 21그램 본사·대표 자택뿐만 아니라 시공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진 원담종합건설 사무실, 에스오이디자인 등 업체도 강제수사 대상이 됐다.
대통령실 관저 이전을 총괄한 김오진 전 국토교통부 차관 자택도 대상에 올랐다.
특검팀은 참고인 신분으로 감사원도 압수수색해 이들 업체에 대한 감사자료를 확보했다.
앞서 참여연대가 2022년 10월 대통령실 이전으로 재정이 낭비됐고 정부 관계자들이 특정 업체에 특혜를 줬다고 주장하며 감사원에 감사를 청구한 바 있다.
감사원은 작년 9월 21그램이 계약 전부터 관저 공사에 착수했고, 15개 무자격 업체에 하도급 공사를 맡겨 건설산업기본법을 위반했다는 등 지적 사항을 발표했다. 하지만 21그램이 공사를 맡게 된 경위 등 핵심 의혹은 충분히 들여다보지 않았다는 비판이 나왔다.
◇ 국민의힘 당사에도 수사관…당원명부 확보 시도
21그램 등 압수수색으로 수사 확대의 신호탄을 쏘아올린 특검팀은 동시에 국민의힘도 겨냥해 강제수사에 나섰다.
오전부터 국민의힘 여의도 중앙당사에 수사관을 보내 당원명부 확보를 꾀했다.
영장 제시 후 자료를 임의제출 받는 형태로 압수수색을 진행하려 했으나 국민의힘은 정당 탄압으로 규정하며 맞서는 상황이 나타났다.
이번 압수수색은 명부를 토대로 통일교 신도 명단과 대조해 '통일교 당원 가입 의혹'의 사실관계를 점검하려는 취지로 풀이된다.
이는 통일교 핵심 간부 윤모씨가 2023년 3월 치러진 국민의힘 당대표 선거에 개입하려 했다는 게 골자다. 윤씨가 권성동 의원을 당대표로 밀기 위해 통일교 교인들을 당원으로 가입시키려 했다는 것이다.
이 같이 통일교와 관련된 의혹을 수사해온 특검팀이 개별 의원의 사무실이 아닌 정당 중앙조직을 직접 겨냥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 삼부토건 주가조작·건진법사 청탁·집사게이트도 계속
특검팀은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 건진법사 인사청탁 의혹 등 기존 사안도 더 깊이 들여다 보고 있다.
'1호 수사 사건'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 관련자로, 자본시장법상 부정거래행위 혐의를 받는 구세현 전 웰바이오텍 대표가 이날 재소환됐다.
특검팀은 건진법사 청탁 의혹과 관련해 국민의힘 박창욱 경북도의원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박 의원은 2022년 6월 지방선거에서 건진법사 전성배 씨를 통해 국민의힘 지도부에 공천을 청탁한 혐의를 받고 있다.
특검팀은 이른바 '집사게이트'의 핵심 인물로 김 여사 일가의 집사로 지목된 김예성씨도 이날 사무실로 불러 조사 중이다.
지난 4월 베트남으로 출국한 뒤 특검팀의 수사를 피해 온 김씨는 전날 전격 입국해 체포됐다.
전날 오후 7시 18분께 김씨를 조사실로 압송한 특검팀은 이날 오전 0시 30분께 첫 조사를 마쳤고, 이날 오전 10시부터 두 번째 조사에 착수했다.
김 씨에 대한 체포영장 만료 기한이 14일 오후까지인 만큼, 특검이 곧장 구속영장을 청구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서울=연합뉴스) 이의진 기자 pual07@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