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여아 선호' 세계 44개국 가운데 1위
[지금한국선]
28% "아이 1명 가질 경우 딸 원해"
한국 사회에서 30년 만에 남아 선호가 약해지고 딸 선호 현상이 뚜렷해졌다는 조사 결과가 나와 눈길을 끈다.
11일 여론조사기관 갤럽 인터내셔널이 2024년 10월부터 올해 2월까지 44개국 성인 4만478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 한국인의 28%가 '아이를 한 명만 가질 경우 딸을 원한다'고 답했다. 반면 '아들을 원한다'는 응답은 15%에 불과해 딸 선호가 아들보다 10%포인트 이상 높았다. 이는 일본·스페인·필리핀(26%), 방글라데시(24%) 등을 제치고 딸 선호율 1위에 해당한다.
특히, 과거와 비교하면 변화 폭은 극명하다. 1992년 같은 조사에서 한국인의 58%는 아들을, 10%만이 딸을 선호한다고 답했다. 30년 만에 선호 성별이 완전히 뒤바뀐 것이다.
연령별로 보면 60대 이상 고령층에서만 아들 선호가 더 높았고, 30~40대 여성의 절반가량은 딸을 선택했다.
실제로 통계청에 따르면, 1990년 여아 100명당 남아 수는 116.5명에 달했으나, 2023년에는 105.1명으로 떨어져 자연 성비 범위(103~107명)에 진입했다.
전문가들은 성 역할 인식 변화, 미혼 남성 증가, 여성 혐오에 대한 사회적 반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분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