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젊은이들 사이서 퍼진 ‘서울병’, 한류 붐 타고 급속 확산

K-컬처 체험 후 돌아간뒤 ‘서울 앓이’
샤오훙수등 SNS에 절절한 고백 홍수
중추절 무비자 허용, 유커 방한 밀물

"서울을 떠나면 내가 병이 난다"('Che***')
"서울에서의 매 순간을 떠올리면 행복으로 가득하다"('kyu***')
'중국판 인스타그램'이라 불리는 샤오훙수에 최근 올라온 절절한(?) 고백들이다.
세계적으로 서울이 인기 관광지로 떠오른 가운데, 중국 소셜미디어(SNS)에서 서울을 다녀온 뒤 느끼는 일종의 향수병인 이른바 '서울병'(首?病)이 화제다.
‘서울병’이라는 용어는 한국에서 K-컬처 체험 후 중국으로 돌아간 한류 팬들이 “서울병이 재발했다”라는 표현을 쓰면서 퍼지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단순히 여행을 마친 후의 아쉬움을 뜻했지만, 점차 그 의미가 확장됐다.
“공연보다, 며칠간의 서울 여행이 더 잊기 힘들다”는 경험담들이 퍼지면서, 현재는 서울 여행 후 일상으로 돌아왔을 때 느끼는 공허감과 한국 문화 전반에 대한 깊은 동경을 담는 표현으로 발전했다.
서울 나들이나 체류를 하고 돌아간 중국인들이 단순한 아쉬움을 넘어 서울의 거리와 서울에서 보낸 일상 하나하나를 그리워하며 '서울찬가'를 부르고 있다.
중국판 틱톡인 더우인에서도 이런 현상의 인기를 확인할 수 있다. 16일 현재 ‘서울병이 더 심해졌다’는 제목의 영상 하나가 97만개가 넘는 ‘좋아요’를 기록 중이다.
댓글창에서는 구체적인 경험담도 쏟아지고 있다.
“한국 사람들이 내가 길을 찾는 것을 도와줬다”는 따뜻한 추억부터, 서울 도심과 한강, 남산타워를 배경으로 한 영상들 “서울은 인생에서 가장 즐거운 여행지였다”, “한강에 다녀오면 서울병에 걸린다”는 반응이 줄을 잇고 있다.
이런 문화적 열풍에 정부 정책까지 맞아떨어지면서 한국행 관광 수요는 급증하고 있다.
한국관광공사 데이터랩에 따르면, 올해 들어 6월 말까지 한국을 찾은 중국인 관광객은 252만7천여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4%가량 늘었다.
이런 가운데 오는 29일부터 중국인 단체관광객에 대한 한시적 무비자가 허용되면서 중국인의 방한 열기는 더욱 뜨거워질 전망이다. 중국 최대 명절인 국경절·중추절(10월 1∼8일)까지 겹치면서 '유커'(游客·중국 단체관광객) 특수가 본격화할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