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 미중, '기자 추방' 맞불 놓나…중국, 보복 경고

    (베이징=연합뉴스) 김윤구 특파원 = 미국과 중국이 서로 상대 영사관을 폐쇄한 데 이어 상호 기자 추방에 나설 조짐이다. 중국 정부의 입장을 비공식적으로 대변한다는 평가를 받는 환구시보의 후시진(胡錫進) 총편집인은 4일 자신의 웨이보 계정에서 미국이 중국 기자들의 비자를 연장하지 않고 있으며 중국은 모든 중국 기자가 미국을 떠나야 하는 최악의 상황에 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 日, 강제매각시 보복 예고…외교부 "대화로 해결·日호응 기대"

    (도쿄·서울=연합뉴스) 이세원 특파원 한상용 기자 = 일제 강점기 징용 피해자에 대한 배상을 거부하는 일본 기업 자산을 압류했다는 공시송달이 4일 발효하자 일본 각료들은 강제 매각 시 맞대응할 것임을 일제히 예고했다.

  • 오늘이  美 대선이라면…바이든 따놓은 당상?

    미국 민주당 대선 후보인 조 바이든 전 부통령이 현재 여론조사 우위대로라면 대통령 당선에 필요한 선거인단을 이미 확보한 수준이라는 분석이 속출하고 있다. 각 주(州)의 여론조사를 우세, 경합, 열세 등으로 분류하고 이 기준에 따라 주별로 할당된 선거인단 수를 취합하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고전과 맞물려 바이든 전 부통령이 대선 승리에 필요한 '매직넘버'를 확보한 여론이 형성돼 있다는 것이다.

  • 바이든, 18일 민주 대선후보 확정

    미국 민주당 조 바이든 전 부통령이 8월 18일 당의 대선 후보로 공식 지명되고 20일 후보직 수락 연설을 한다. 코로나19 확산 탓에 대부분 행사는 화상으로 진행된다. 31일 ABC방송 등에 따르면 민주당 전당대회위원회는 8월 17~20일 위스콘신주 밀워키에서 전당대회를 열어 바이든 전 부통령을 대선 후보로 공식 선출한다.

  • 트럼프 대선후보 지명식에 '언론 입장금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 대한 공화당 대선후보 공식 지명식에 언론의 출입이 금지된다. 코로나19로 인해 집단 행사를 축소해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공화당 전국위원회(RNC)는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럿에서 열릴 공화당 전당대회를 언론 비공개로 진행한다고 밝혔다고 CNN방송과 AP통신 등이 1일 보도했다.

  • 트럼프 빼고 다 모였다

    미국 흑인 인권운동의 대부 존 루이스 연방 하원의원의 장례식에 현직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제외하고 전직 대통령 3명이 참석했다. 버락 오바마, 조지 W. 부시,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은 30일 조지아주 애틀랜타의 에버니저 침례교회에서 열린 루이스 의원 장례식에 나란히 참석했다고 AP통신 등이 보도했다.

  • "우편투표로 사기선거…대선 연기할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우편투표 확대에 대한 부정선거 의혹을 제기하며 11월 3일 대선 연기 가능성을 전격 거론하는 '폭탄발언'을 했다. 코로나19 재확산세 및 대응 부실 논란 등과 맞물려 지지율이 추락하는 상황에서 최근 불복 가능성을 내비친데 이어 이번에는 '대선 연기'라는 돌발카드로 판 흔들기에 나선 것으로, 작지 않은 논란과 파장이 예상된다.

  • 미국 정가에 흑인 여성 돌풍

    미국에서 인종차별 반대 시위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하는 가운데 미국 정가에 흑인 여성들의 바람이 거세다. 28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럿거스대학 미국여성정치센터(CAWP) 집계 결과 올해 흑인 여성 또는 흑인 혼혈여성 122명이 오는 11월 대통령 선거와 함께 치러지는 연방하원의원 선거에 출마를 선언했다.

  • 백악관 코로나19 '비상'

    로버트 오브라이언(54)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은 것으로 27일 확인됐다. 미국의 코로나19 확진자가 누적 400만명을 넘는 등 코로나19 확산세가 멈추지 않는 가운데 백악관 고위 당국자가 확진 판정을 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 트럼프 미 '글로벌 리더십' 역대 최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2017년 취임 이후 미국의 글로벌 리더십에 대한 지지율이 3년 연속 30% 초반대를 기록하며 역대 최저치 수준을 맴돌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우선주의'를 내세워 고립주의 행보 속에 국제사회의 기성 질서를 인정하지 않는 듯한 정책을 강하게 밀어붙인 것이 미국에 대한 전 세계 시민의 불신과 거부감을 키운 결과로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