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임지석의 동서남북

수필가, 목사

  •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소나무

    캘리포니아는 나무에 관한 3가지 기록을 가지고 있습니다. 세코야 국립공원의 가장 부피가 큰 나무, 레드우드 국립공원의 가장 키가 큰 나무, 의 가장 오래된 소나무가 그것들입니다. 그 중에도 슐만의 숲에서 자라는 가장 오래된 소나무 브리슬콘에 관한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애리조나 대학의 슐만이라는 학자가 이곳에 사는 나무들의 나이를 연구하다 놀라운 사실을...


  • 어둠의 터널을 지나면

    미국이 낳은 희극배우 밥 호프는 젊은 시절 이름 없는 권투선수로 생활했습니다. 가난하게 살아갔지만 현실에 비관하지 않고 도전하여 미국 최고의 배우가 되었습니다. 평범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난 해리 트루먼은 농장에서 일하다가 결혼 후 남성복가게를 열었지만 얼마 못되어 문을 닫아야 했습니다. 그러나 그는 포기하지 않고 법률학교에 진학해 판사가 된 후에 끊임없는 ...


  • 1만 시간의 법칙

    캐나다의 작가 Malcolm Gladwell은 Outliers라는 작품에서 이렇게 말합니다. 사람이 아무리 뛰어난 재능과 좋은 환경에 있을지라도 꾸준한 자기 노력을 필요로 한다고 합니다. 일만 시간을 투자하면 자신이 하는 일에 성공할 수 있다고 말하는데 이것이 바로 1만 시간의 법칙입니다. 바이올린을 시작한 아이들을 종합 평가한 내용입니다. 1만 시간을...


  • 가치를 아는 삶

    어느 추운 겨울 날 런던의 한 악기상에 낡은 바이올린을 가진 사람이 나타났습니다. 그는 주인을 보더니 가지고 있던 악기를 사달라고 하면서 통사정을 하는 것이었습니다. "제발 이 바이올린을 사주세요. 무엇이든지 사먹어야 하니 얼마라도 주세요." 값어치가 없는 악기로 생각한 주인은 그에게 적선을 한다고 생각하고 바이올린을 단돈 5달러에 샀습니다. 그런데 불을...


  • 리더와 보스

    다같이 책임을 지는 위치에 있지만 리더와 보스 사이에는 적지 않은 차이가 있습니다. 리더는 모두를 아우를 줄 아는 통합형인데 비해서 보스는 구성원에게 군림하기 좋아하는 성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리더는 '우리'라는 단어를 즐겨 사용하지만 보스는 오직 '나'를 나타내기를 좋아합니다. 이러한 사실은 정치하는 사람들을 통해서도 충분히 경험할 수 있는 내용입...


  • 이세돌과 알파고

    인공 지능이란 사람이 필요로 하는 지능을 기계를 통해서 이루는 학문이나 기술입니다. 요사이 인공 지능과 인간 사이의 바둑대결이 단연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사실 인공 지능도 인간의 노력에 의해서 만들어진 부산물이기에 이러한 기계와 인간이 경쟁을 한다는 자체가 썩 기분 좋은 일은 아닙니다. 한 페러디를 통해서 보듯이 이는 수많은 컴퓨터로 무장한 기계와...


  • "언제 밥 한번 먹자"

    "조만간에 밥 한번 먹자" "나중에 전화할게" 우리 사회에는 특별한 약속이 있는데 약속은 약속이지만 제대로 지켜지지 않은 것들입니다. 인사치레로 하는 말이지만 이러한 약속 때문에 누군가는 낭패를 당하고 소중한 시간을 허비할 수 있습니다. 문화적인 이유 때문인지는 몰라도 이처럼 우리 사회에 확실치 않은 약속들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


  • 인간만사 '새옹지마'

    한 농부가 큰 맘 먹고 재산의 반을 처분해서 말 한 필을 샀는데 이 말이 얼마 되지 않아서 도망을 갔습니다. 그러자 농부는 "이 일이 불행한 일인지 어찌 알 수 있겠소"하면서 이를 태연하게 받아들였습니다. 얼마 후에 도망갔던 말이 값비싼 종마를 데리고 돌아오자 동네 사람들이 몰려와서 한마디씩 했습니다. "복이 넝쿨째 들어왔네요." 농부는 "...


  • "당신은 준비돼 있습니까?"

    미국에 와서 접하는 문화적인 차이는 죽은 사람을 매장하는 묘지를 통해서도 잘 나타나고 있습니다. 미국에서는 묘지라기보다 공원처럼 아름답게 단장되어 있어서 언제든지 편안한 마음으로 찾을 수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사랑하는 사람이 묻혀있는 그곳에 가서 책을 읽거나 이런저런 일을 하면서 시간을 보내기도 합니다. 어느 날 한 사람이 묘지를 돌면서 ...


  • '무자식 상팔자'의 함정

    한국에서 여성 한 명이 출산하는 자녀수는 2005년 말 기준으로 1.08명에 지나지 않는다고 합니다. 이는 OECD 국가는 물론 전 세계에서 가장 낮은 출산율에 해당합니다. 학자들의 견해에 의하면 현재의 인구를 유지하려면 출산율이 적어도 2명은 되어야 한다고 합니다. 결국 어떤 특단의 조치와 자녀출산에 대한 획기적인 의식의 변화가 없이는 인구감...


  다른칼럼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