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 오바마 정책 발목잡은 美대법원 판례, 트럼프 관세도 무너뜨릴까

    미국 연방 대법원이 다시 한번 행정부의 주요 정책의 존폐를 결정하는 입장에 서게 됐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31일(현지시간) 대법원 상고심 결과에 따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 관세 정책의 운명이 결정된다고 보도했다.

  • "미국 관세 불법 판결에 교역국들 혼란…한일, 협상 늦출지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부과한 상호관세 등이 미국 항소심 법원에서도 불법 판정을 받으면서 글로벌 무역의 혼란이 더 확산하고 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번 결정에 따라 이미 구두로 무역 합의를 한 한국과 일본이 자동차 관세를 더 낮추려 시도하며 협상 속도를 늦출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 美 블랙스톤, 미용실 프랜차이즈 준오헤어 수천억원대 인수

    세계 최대 사모펀드 운용사(PE)인 미국 블랙스톤이 국내 최대 미용실 프랜차이즈 업체인 준오헤어를 수천억원대의 거액에 인수한다. 국내외 PE들이 'K뷰티'(한국 미용산업)의 세계적 인기를 주목해 화장품·미용기기 기업을 인수한 경우는 많았지만, 이처럼 미용실 업체가 매각된 것은 처음이다.

  • K-라면 "미국 생산 공장에 웃고 운다"

    미국인들에게 인기 상종가를 치면서 대미 수출의 첨병인 K라면을 생산하는 한국 업체들 사이에 희비가 교차하고 있다. 그 희비의 중심에는 미국 내 생산 공장이 자리잡고 있다. 미국 생산 공장을 보유한 업체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부과를 피할 수 있어 웃는 반면에 한국서 전량 수입해야 하는 업체는 관세 예봉을 피하지 못해 울고 있다.

  • 연준 금리인하 기대 

    미국 관세정책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이달 기준금리 인하에 나설 것이란 기대가 커지면서 1일 금 선물 가격이 4개월여 만에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은 선물 가격도 크게 오르며 1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 에어프레미아, 신규 기능 도입

    국적 항공사 에어프레미아는 비행 중 인터넷 연결 없이도 모바일 앱에서 주요 탑승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신규 기능을 도입했다고 1일 밝혔다. 이용 방법은 간단하다. 출발 35분 전, 비행기 모드를 설정한 상태에서 앱에 접속하거나 네트워크 연결이 없는 상황에서 앱을 실행하면 자동으로 적용된다.

  • AI 일자리 타격 연령대별로 다르다…22∼25세 가장 취약

    인공지능(AI) 산업 발전으로 가장 타격을 크게 입은 연령대는 22∼25세 청년층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CNBC방송은 28일(현지시간)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진행된 연구를 인용해 고객 서비스, 회계, 소프트웨어 개발 분야 등 AI 기술에 노출이 두드러진 직업군 종사자 가운데 22∼25세 고용률이 2022년 이후 13% 줄어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고 보도했다.

  • 머스크·올트먼·젠슨 황…타임 영향력 있는 AI 인사 100인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이 올해 영향력 있는 인공지능(AI) 인사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샘 올트먼 오픈AI CEO, 젠슨 황 엔비디아 CEO 등을 선정했다. 타임은 28일(현지시간) 올해 AI 분야에서 큰 영향을 끼친 100인(TIME100 AI 2025) 을 선정해 리더, 혁신가, 개척자, 구상가 4개 부문으로 나눠 발표했다.

  • "美 수입 줄고 개인소비 늘어"

     미국의 2분기 국내총생산(GDP)이 3. 3% 증가(직전분기 대비 연율)한 것으로 28일 잠정 집계됐다. 이는 지난달 발표한 성장률 속보치(3. 0%)보다 0. 3%포인트 상향 조정된 것이다.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3. 1%)도 웃돌았다. 1분기 성장률 잠정치(-0.

  • 엔비디아 전망은?…"성장세 둔화" vs "AI 투자 여전히 강력"

    인공지능(AI) 칩 선두 주자 엔비디아가 27일(현지시간) 2분기(5∼7월) 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향후 성장에 대한 엇갈린 평가가 나온다. 2년 동안 급성장한 엔비디아의 성장세가 둔화 조짐을 보인다는 시선과, 반대로 이번 실적이 기업들의 AI 인프라에 대한 투자가 여전히 강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는 긍정적인 시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