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 "새해엔 담배 좀 끊어봅시다"

    한인금연센터(이하 센터)는 무술년 새해를 맞아 금연을 목표로 세우길 권장하고, 센터가 금연 성공률이 두 배 높다고 검증된 무료 금연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흡연자들을 돕고 있다고 밝혔다. 전화((800)556-5564) 또는 웹사이트(asiansmokresquitline.

  •  "니코틴, DNA 손상 암 유발"

    전자담배 속의 니코틴이 DNA를 손상시켜 여러 암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는 동물실험결과가 나왔다. 전자담배는 일반 담배와 달리 발암물질이 대폭 줄었다고 업체들은 주장하지만, 액상형이든 궐련형이든 전자담배의 가장 중요한 또는 사실상 유일한 성분인 니코틴이 암 유발 물질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 "아이코스, 일반 담배만큼 위험"

    미국 식품의약품국(FDA) 자문위원회가 궐련형 전자담배 '아이코스(iQOS·사진)'에 대해 "흡연과 관련된 질병의 위험을 줄인다는 필립모리스의 주장에는 증거가 없다"고 판단했다. 25일 CNBC에 따르면 자문위원단은 이날 위원 1명이 기권한 가운데 8명의 반대로 이같은 주장을 부결했다.

  •  환자들 '리퍼' 막은 메디컬 그룹 제재 

    메디캘 수혜자의 전문의 진료 의뢰(리퍼)를 은밀하고 조직적으로 막아 온 메디컬 그룹과 관리회사가 제재를 받게 됐다. 캘리포니아 건강보험관리국(DMHC)은 메디컬그룹(IPA) EHS(Employee Health Systems)와 가입자 관리회사인 시너메드(SynerMed)가 메디캘 등 환자가 주치의를 통해 전문의 진료를 의뢰할 때 이를 허가하지 않도록 의도적으로 막아 왔다고 밝혔다.

  • 피 한방울로 '암 조기 진단'시대 눈앞에

    피 한방울로 암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다면 믿을 수 있을까? 과학 영화에서나 가능할 법한 이야기가 현실이 됐다. 피 한 방울로 대표적인 암 8가지를 조기 진단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기 때문이다. 증세가 나타나기 전에 암을 조기 발견하면 치료 가능성도 그만큼 커질 수 있어 상용화되면 암 극복에 획기적인 전기가 될 전망이다.

  • "나이 들수록 차분하고 침착"

    사람의 성격은 본디 타고난 그대로 변하지 않을까, 아니면 세월의 흐름과 함께 달라질까. 사람의 성격은 '시간이 흐르면서 변한다'는 연구가 나왔다. 미국 노스웨스턴 대학교 연구팀은 선행 연구 14편을 비교 분석했다. 이 연구에는 실험 참가자 5만 명의 데이터가 담겨있었고 성격은 5가지 성격 요소인 ▲개방성 ▲친화성 ▲신경성 ▲외향성 ▲성실성을 기준으로 삼았다.

  • "독감, 호흡만으로도 전염"

    LA를 비롯한 캘리포나아에서 지난해 10월부터 현재까지 독감으로 인한 사망자수가 74으로 늘어난 가운데 인플루엔자(독감) 바이러스가 기침이나 재채기 등이 아닌 호흡만으로도 퍼질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미국 과학진흥협회(AAAS) 운영 과학뉴스 사이트인 유레크얼러트 등에 따르면 메릴랜드주립대학 보건대학원 도널드 밀턴 교수가 이끈 연구팀은 독감으로 진단받은 대학생 14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후 이같은 결과를 밝혀냈다.

  • 위암 발생 위험 14배 높아져

    커피를 하루에 4잔 넘게 마시는 사람은 전혀 마시지 않는 사람에 비해 위암 발생률을 높이는 '장상피하생'이 생길 위험이 14배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윤창호 경북대 의학전문대학원 가정의학교실 교수팀은 이런 내용을 담은 논문을 대한가정의학회 학술지에 발표했다.

  •  男 43세·女 49세에 잇몸 건강 무너져

    한국인의 잇몸질환(치주염)이 본격적으로 악화되는 나이가 처음 밝혀져 눈길을 끌고 있다. 동아일보에 따르면 남성은 43세, 여성은 49세에 치주염이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녀를 통틀어보면 평균적으로 46세에 치주염이 악화되는 셈이다.

  • "담배, 딱 한 모금"…골초 된다

    담배를 단 한번이라도 피우게 되면 대부분 끊지를 못하고 계속 피우게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퀸 메리 대학교 연구팀은 영국을 포함해 17개국 21만5000여 명의 자료를 토대로 흡연 습관을 분석했다. 그 결과, 60. 3%가 흡연을 경험했으며 이중 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