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 환율 종가 1,472.5원…연말 기준 외환위기 후 27년 만에 최고

    5거래일 연속 상승…1년 새 184. 5원 뛰어. 올해 원/달러 환율 연말 주간 거래 종가가 외환위기였던 1997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30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는 전 거래일보다 5.

  • LA카운티 직장인 평균 연봉 7만9768불, 작년 보다 늘어

    LA 7만9768달러로 4. 1% 상승. LA를 비롯해 남가주 지역 직장인들의 급여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LA 데일리 뉴스가 27일 보도했다. 연방 통계국 자료를 근거로 올해 2분기 급여를 기준으로 연 수입을 산정한 결과에 따르면 LA카운티 내 450만명에 달하는 직장인들의 연봉은 평균 7만9768달러로 전년 동기에 비해 4.

  • 2주 실업수당 청구자 3년 만 최대

    연방 노동부는 지난주(15~21일)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21만9천건을 기록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는 한 주 전보다 1천건 줄어든 수치로 시장 예상치인 22만3천건보다 낮다. 2주 이상 실업수당을 신청한 '계속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12월 8~14일 191만건으로 직전 주보다 4만6천건이 늘어났다.

  • 애플 주가 6주째 올라…시총 4조달러 눈앞

    애플 주가가 인공지능(AI) 붐에 따른 아이폰 교체 수요 기대감 등에 힘입어 꾸준히 오르면서 미국 증시 사상 첫 릫시가총액 4조달러릮 문턱에 한 발 더 다가섰다. 애플 주가는 26일 뉴욕증시에서 전장 대비 0. 82달러(+0. 32%) 오른 259.

  • "관세 폭탄에 중저가 차 씨 마를 것"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이 캐나다·멕시코에 25%의 보편관세 부과를 위협한 가운데, 자동차 시장에서 중저가 차량의 씨가 마를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GM, 포드, 닛산, 기아 등 글로벌 완성차 업체 중 상당수가 멕시코에서 소형차를 생산해 미국으로 수출하고 있기 때문이다.

  • 美 2주 이상 실업수당 청구자 3년 만에 최대…191만명

    미국 노동부는 지난주(15~21일)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21만9천건을 기록했다고 26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는 한 주 전보다 1천건 줄어든 수치로 시장 예상치인 22만3천건보다 낮다. 2주 이상 실업수당을 신청한 '계속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12월 8~14일 191만건으로 직전 주보다 4만6천건이 늘어났다.

  • 올해 연말 쇼핑 시즌 미국 소비 작년보다 강했다

    마스타카드 집계 11~12월 지출 3. 8%↑. 미국에서 지난달부터 시작된 연휴 쇼핑 기간에 소비가 작년보다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로이터 통신은 마스터카드 스펜딩펄스 보고서를 인용해 지난달 1일부터 이달 24일까지 매출이 작년 동기 대비 3.

  • WSJ "미, 생산성 기적 일어날 수도…1990년대 IT 붐과 유사"

    5분기 연속 2% 이상 증가…코로나 이전 5년간 1. 6%와 대비. 미국 경제가 1990년대 정보기술(IT) 발전 때와 비슷한 생산성 향상을 목전에 두고 있다는 기대가 나왔다.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6일(현지시간) 미국 노동통계국 추정치를 인용해 지난 3분기 전체 비농업 부문 노동 생산성이 전년 동기 대비 2.

  • 정국 불안 지속에…환율 1,480원 넘고 코스피 2,400선 깨졌다

    국내 정국 불안 장기화 우려에 27일 국내 금융시장이 흔들리고 있다. 원/달러 환율은 장 중 20원 넘게 치솟으며 금융위기 이후 처음으로 1,480원을 넘어섰고, 코스피 2,400선도 4거래일 만에 무너졌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오전 11시 22분 현재 전일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보다 20.

  • "프로모션에 할인까지 이래도 안살래?"

    매출 3. 8% 증가, 작년 성장률 웃돌아.  연말 쇼핑 특수인 올해 추수감사절부터 크리스마스로 이어지는 기간 동안 소비 지출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물가 여파로 경기 시계가 불투명한 상황에서도 소비 심리가 얼어 붙지 않고 강력한 소비가 유지된 것은 소매업계의 공격적인 할인 정책에 따른 효과라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