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 "외출 삼가고 나가면 여권은 꼭 챙겨라"

    조지아주에서 벌어졌던 한국인 대규모 구금 사태의 여파가 국적 항공사 승무원에까지 미치고 있다. 체포 과정에서 정식 비자를 소지한 이들까지 무차별 단속 대상이 되면서다. 대한항공 등 LA노선을 오가는 국적 항공사들이 승무원들에게도 "외출 자제와 함께 반드시 여권을 소지하라"는 지침을 내려 승무원들 사이에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 "미국행 항공 예약 취소 늘었다"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 구금 사태와 관련 국적항공사들의 미주 노선이 큰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한국서 미국 전자여행허가(ESTA)를 받아 출장을 가거나 여행을 가려는 수요 중 상당 부분이 방문 자체를 취소하고 있다는 진단이다.

  • 한국인 근로자들 재입국 불이익 없을까?

    크리스토퍼 랜도 미 국무부 부장관이 14일 미국 이민당국의 한국인 근로자 구금 사태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한다”며 “이번 사태를 제도 개선 및 한미관계 강화를 위한 전기로 활용해 나갈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구금 사태 이후 미국 측이 공식적으로 유감을 표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 절반 이상이 무비자 ESTA 출장

    조지아주 공장에서 일하다 구금당한 한국인 직원 300여명 중 절반은 무비자인 ESTA(전자여행 허가제)와 B1(사업)·B2(관광) 비자를 보유했던 것으로 파악됐다.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의장인 한정애 의원(서울 강서병)이 12일 외교부 등으로부터 확보한 자료에 따르면 조지아 공장에서 체포된 회사별 한국인 직원 수는 현대엔지니어링과 LG에너지솔루션 각각 67명, 250명에 달했다.

  • "3500억불 트럼프에 주느니 수출기업 지원하는게 낫다"

    한국 정부가 관세를 낮추기 위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에 3천500억달러(약 488조원)를 내는 대신 그 돈으로 한국의 수출기업을 지원하는 게 낫다고 미국 경제학자가 주장했다. 미국 싱크탱크 경제정책연구센터(CEPR)의 선임경제학자 딘 베이커(사진)는 한국과 일본이 미국과 큰 틀에서 타결한 무역 합의가 좋은 합의 같지 않다고 평가한 글을 지난 11일 연구센터 홈페이지에 올렸다.

  • 타운 한복판 공터 '노숙자 텐트촌' 충격”

    LA한인타운 한복판의 빈터에 대규모 노숙자 캠프가 형성돼 충격을 주고 있다. 주민들은 이곳이 사실상 노숙자들의 릫작은 도시릮로 변했으며, 쓰레기와 악취 등 위생문제부터 치안 문제까지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 노숙자 캠프는 사우스 맨해튼 플레이스 7가와 8가 사이의 한인들이 다수 거주하는 아파트득과 인접해 있는 공터에서 지난 5월 몇 개의 텐트로 시작됐다.

  • '골프 티타임 중개' 이익 탈세 혐의 40대 한인 쌍둥이 형제 기소

    연방 검찰에 따르면 부에나팍 거주자인 김 모씨는 세금 포탈 2건과 세금 문서 허위 작성 1건, 세금 납부 불이행 2건, 쌍둥이 형제인 포모나 거주자 김 모씨는 세금 포탈 2건과 세금 납부 불이행 혐의 3건으로 각각 기소됐다. 이들 형제는 무죄를 주장한채 보석금을 납부하고 석방된 상태다.

  • 암 고치러 한국 가는 이유있다

    미국의 시사주간지 뉴스위크의 12개 분야별 세계 최고 병원 평가에서 한국이 주요 병원들이 최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뉴스위크의 ‘2026 세계 최고 전문병원’ 순위에 따르면 암 분야에서 미국의 메모리얼 슬론 케터링 암센터가 세계 최고 암 병원으로 꼽혔다.

  • "이 경사 '영웅' 만들어야 하니 함구하라"…동료 해경들 폭로

    갯벌에 고립된 노인을 구조하다가 숨진 해양경찰관과 함께 당직을 섰던 동료들이 해경 내부에서 진실을 은폐하려고 한 시도가 있었다고 폭로했다. 인천해양경찰서 영흥파출소 소속 고(故) 이재석(34) 경사와 함께 사고 당시 당직을 섰던 팀 동료 4명은 15일 인천 동구 장례식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그동안 영흥파출소장으로부터 이 경사를 '영웅'으로 만들어야 하니 사건과 관련해 함구하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밝혔다.

  • 검찰, '국회 패스트트랙 충돌' 이끈 나경원에 징역 2년 구형

    검찰이 '국회 패스트트랙 충돌' 사건으로 기소된 국민의힘의 전신 자유한국당 지도부와 의원들에게 실형을 구형했다. 검찰은 서울남부지법 형사합의11부(장찬 부장판사) 심리로 열린 결심 공판에서 당시 당 대표였던 황교안 자유와혁신 대표에게 징역 1년 6개월을 구형했다.